정부긴급지원대출을 가장한 보이스피싱 시도 문자메시지
자금지원 해준다며 기존대출 상환 명목으로 돈 가로채
전화 끊고, 문자는 스팸신고 후 삭제해야
최근 저금리의 정부지원대출이 가능하다는 보이스피싱 사례가 발생하면서 금융감독원이 8일 소비자경보 주의를 발령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코로나19와 관련해 정부지원대출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사례가 6일 기준 10건 발생했다.
사기범들은 ▲자금지원을 해준다며 기존대출 상환 명목으로 돈을 가로채거나 ▲신용등급 상향·대출작업비 명목으로 자금이체를 요구 ▲비대면 대출 진행을 위해 악성 어플리케이션 설치하도록 했다.
금감원은 이런 내용의 전화나 문자를 받으면 전화는 끊고, 문자는 스팸신고 후 삭제하라고 안내했다.
금융사는 불특정 다수에게 전화를 걸어 정부지원대출 취급을 위해 기존대출 상환을 권유하지 않는다. 정부지원대출은 금융사 영업점이나 정부산하기관의 지역센터에서만 대출신청과 취급을 할 수 있다. 대출금 상환은 본인 명의 계좌 또는 금융사 명의 계좌로만 가능하며 타인 계좌 이체·송금은 100% 사기다.
또, 금융사는 작업비용, 수수료 명목으로 자금이체를 요구하지 않는다. 출처가 불분명한 앱이나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부에서 자금지원대책을 시행하면서 관련 보이스피싱 의심문자 제보와 상담이 급증한다”라면서 “자금압박 해소가 시급한 심리를 이용해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 피해 증가가 우려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