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급증한 기업 자금 조달, 총체적 자금부족으로 분석하기 어려워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최근 대두된 ‘기업자금 위기설’에 대해 사실에 근거한 주장으로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은 위원장은 6일 민간 자문위원, 출입기자, 칼럼니스트에 발송한 공개서한에서 기업자금 위기설에 대해 “과거에도 경제가 어려울 때마다 자금 위기설이 반복적으로 등장했으나, 지나고 보니 과장된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위기설은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측면이 있다”라면서 “하지만, 불필요하게 시장의 불안을 증폭시키고, 언급되는 특정 기업의 자금사정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만큼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최근 급증한 기업 자금 조달 실적이 자금 부족과 연관 있냐는 지적에 대해 “이를 가지고 기업이 총체적 자금부족 상황에 부닥쳤다고 분석하기는 어렵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그는 “기업 자금조달도 시장의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된다”라면서 “금융권이 기업의 수요에 맞춰 적극적으로 자금을 공급했기 때문에 가능했고 이 과정에서 기업의 자금조달 구조도 질적으로 개선됐다”라고 답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1분기 자금 조달 실적은 61조 7천억 원으로 지난해 46조 1천억 원 대비 34%가량 증가했다. 기업의 자금조달 구성을 보면, CP 등 단기자금조달 증가세는 둔화하고, 대출·회사채 등 장기자금조달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채권시장안정펀드 매입대상이 아닌 회사채나 CP는 지원하지 않느냐는 지적에는 “채안펀드는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은 우량기업의 채권발행을 지원해 시장의 마찰적 경색 상황에서 시장수급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채안펀드의 채권매입 대상이 아니라고 해서 해당 기업을 포기하거나 지원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라면서 “채안펀드 매입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회사채, CP에 대해서는 P-CBO, 회사채 신속인수 등 다른 정책금융기관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지원하고, 일시적 유동성 문제로 기업이 도산하는 일은 막겠다는 것이 정부의 확고한 방침이다”라고 강조했다.
또, 금융사의 CP·회사채를 지원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금융사는 증권금융 등을 통해 유동성을 공급받을 수 있고, 한국은행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라면서 “그런데도 자금조달이 어려우면 채안펀드에서 일부 매입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은 위원장은 경영난에 시달리는 항공업계에 대해 “정부는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라면서 “리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항공산업의 구조적 특성상 부채비율이 높아, 금융지원과 함께 자본확충, 경영개선 등 종합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관계부처, 정책금융기관과 함께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다각적·종합적 대안을 심도 있게 논의 중이다”라면서 “결론이 정해지는 대로 구체적 방안을 알려드리겠다”라고 말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