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달러화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2009년 금융위기 이후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원화 약세가 이어지면서 달러화 표시 소득을 끌어내렸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달러화 기준)는 3만 2천47달러로 전년(3만 3천434달러)보다 4.1%(1천387달러) 줄었다.
이 같은 감소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10.4%) 이후 최대로, 명목 GDP 성장률이 실질 GDP 성장률을 밑돈 가운데 지난해 원화 약세가 달러화 표시 소득을 끌어내린 영향이다. 원화 기준 1인당 GNI는 3천735만6천 원으로 지난해 대비 1.5% 늘었다.
이와 함께 한은은 이날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를 지난 1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은 연 2.0%로 발표했다.
4분기 실질 GDP는 전기 대비 1.3% 성장해 속보치 대비 0.1%p 상향 조정됐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0.3%p) 등이 하향 조정된 반면 설비투자(1.8%p), 건설투자(0.7%p), 민간소비(0.2%p)가 상향 조정된 영향이다.
지난해 명목 GDP는 1천914조 원으로 전년 대비 1.1% 성장했다. 명목 성장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0.9%)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명목 GDP 성장률 둔화는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교역조건이 악화한 탓이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대비 0.9% 하락했다. 2006년(-0.2%) 이후 13년 만의 감소이나, 하락폭은 1999년(-1.2%) 이후 20년 만에 가장 컸다. 총저축률은 34.6%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하락, 2012년(34.5%)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았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