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용인·성남 ‘폭등’… 조정대상지역 확대 주목

12·16 부동산 대책 이후 투자 수요 쏠려 풍선효과… 전주대비 2% 넘게 올라

최근 수원, 용인, 성남 등 이른바 ‘수용성’의 집값에 치솟는 풍선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정부가 이들 지역의 추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정부는 13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비공개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최근 과열이 있는 일부 지역의 주택시장 동향을 점검했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12ㆍ16대책 이후 풍선효과가 나타난 수원과 용인 등 경기도 일부 지역의 집값 급등이 심상치 않다고 보고, 이들 지역에 대한 추가 규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조만간 주거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수용성’ 가운데 최근 집값이 급등한 수원과 용인 등 일부를 조정대상지역으로 추가 지정할 방침이다.

지난해 정부의 12ㆍ16대책 이후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규제가 쏠리다 보니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경기 남부로 투자 수요가 쏠렸다. 특히, 수원은 신분당선 광교~호매실 노선 추진 등 교통 여건 개선과 재개발 등 호재가 맞물려 집값이 더욱 뛰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번 주 수원시 권선구의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2.54% 올랐고, 영통구가 2.24%, 팔달구는 2.15% 오르는 등 수원 주요 지역의 아파트 매매 가격이 2% 넘게 폭등했다. 용인 수지구(1.05%)와 기흥구(0.68%)도 저평가에 대한 인식, 교통 호재에 힘입어 최근 아파트값이 초강세를 보였고, 성남시는 수원과 용인에 비해 안정돼 있지만 수정구 등 일부 지역의 아파트값이 상승세다.

이날 홍남기 부총리는 조정대상지역 추가 지정 여부와 관련 “오늘 부동산 시장과 관련해 일부 지역에서 불안정 요인이 있는 것 같아 전체 동향을 점검했다”라며 “논의를 토대로 추가 판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봄(3∼5월) ‘수용성’ 지역에서는 최근 5년 새 가장 많은 4천867가구의 아파트가 일반분양 된다. 지역별로는 구도심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성남시에서 2천326가구가 분양되며, 수원시는 1천861가구, 용인시는 680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