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ETF 거래대금 하루 만에 2배 올라
미국과 이란 무력 충돌 우려가 지속하면서 금융시장에서는 안전자산인 금과 원유 관련 상품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금·원유를 기초로 한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펀드와 상장지수펀드(ETF)의 수익률이 크게 올랐다.
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국내 금 펀드 12개의 최근 1주일 수익률은 3.01%, 최근 1개월 수익률은 6.50%를 나타냈다.
금 관련 펀드 중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인 ‘KINDEX골드선물레버리지’는 최근 1주일간 수익률이 8.39%를 기록했다. 이 ETF는 일본 도쿄 선물거래소의 금 선물 가격 움직임을 기초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산출하는 지수(S&P WCI Gold Excess Return) 일간 수익률의 2배 성과를 내도록 운용된다.
국제 금값이 지난 8일 온스당 1천600달러를 넘으면서 금과 관련된 금융 파생상품 지수들이 일제히 급등했고 국내 ETF 수익률에도 반영됐다. 국제 금값이 온스당 1천600달러를 넘어선 것은 2013년 4월 이후 약 6년 9개월 만이다.
금값 강세는 글로벌 유동성 확대로 인해 실물 자산 가치가 상승하는 추세이고 최근 미국과 이란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중동 발 이슈로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원유 관련 상품 수익률도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2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8일 배럴당 65.65달러까지 올랐다. WTI원유 선물가격 관련 ETF인 ‘KODEX WTI원유선물’과 ‘TIGER원유선물’은 지난 8일 기준 1주일간 수익률이 각각 2.50%, 2.51%를 나타냈다.
이들 상품의 수익률이 상승하면서 자금도 몰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과 원유 등을 포함한 원자재 관련 ETF 18종목의 하루 거래대금은 8일 239억 원으로 전날(120억 원)의 2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1주일 전인 12월 30일의 거래대금(50억 원)과 비교하면 4.8배 정도 증가했다.
8일 하루 ‘KINDEX골드선물레버리지’ 거래대금은 27억 원으로 전날(11억 원)보다 2.5배 늘었고, ‘TIGER원유선물’ 거래대금은 35억 원으로 전날(22억 원)보다 1.6배 증가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