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기업 210곳 수술대 오른다… 중소기업 96%

올해 부실 징후를 보이는 기업 210곳이 ‘구조조정 수술대’에 오른다. 대상 기업 중 96%는 중소기업으로, 중소기업의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기업 3천307개 사의 신용위험을 평가한 결과, 210개 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부실징후기업은 C등급 59개 사와 D등급 151개 사로 구성된다. 이들 기업은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 대상이 된다.

이런 가운데 부실징후기업 수는 지난해보다 20개 사가 늘어났다. 전반적인 불황과 세부평가 대상 기업 수가 355곳으로 늘어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부실징후를 보이는 대기업 수는 9개 사로 지난해보다 1개 사 줄어든 반면, 부실 중소기업은 201개 사로 지난해보다 21개 사가 늘어나는 등 중소기업 쏠림 현상도 나타났다.

부실 중소기업 수는 2017년 174개 사, 2018년 180개 사를 기록하는 등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또 중소기업의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부실징후 기업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6년 84.6%, 2017년 87.4%, 지난해 94.7%, 2019년 95.7%로 늘고 있다.

업종별로 보면 기계장비 분야 기업이 35개 사로 가장 많았으며, 부동산이 19개 사, 자동차부품 17개 사, 금속가공 17개 사, 도매ㆍ상품중개 14개 사 등 순이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3조 3천억 원이다. 이 중 은행권이 2조 4천억 원으로 72.7%를 차지하고 있다. 부실징후기업 여신의 자산 건전성을 재분류하면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1천735억 원 수준이다. 현재 은행권의 손실흡수 능력을 고려하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금융당국은 부실징후기업(CㆍD등급)으로 선정된 기업을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 프로그램으로 유도할 예정이다. 일시적 경영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은행 등이 유동성 지원에 나서거나 경영 애로 상담 및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경영 정상화를 적극 지원한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