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따라 인천시도 지난해에 ‘인천시 신재생에너지 보급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계획에 따르면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풍력, 수력, 바이오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2035년까지 2천800㎿ 규모로 확대하는 것이다. 수소연료전지 목표는 600㎿로 올해 기준 56.6㎿에서 10배 이상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지역주민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혀 현재 추진이 답보상태로, 인천시의 애초 건립계획 규모가 축소될 위기에 처해있다. 이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인천시 행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수소연료전지발전소는 국내에 47개소가 건립돼 가동되고 있는데 인천에서 유난히 주민반발이 극심하다. 이러한 가운데 지역정치인과 시민단체 등이 가세해 발전소 건립 문제가 정치 이슈화돼 민간 추진업체와 주민 간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주민들은 최근 발생한 강릉과 노르웨이 폭발사고를 예를 들어 안전성과 환경 검증이 미흡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해 민간업체는 시민단체들이 연료전지시설에 대한 왜곡된 정보를 가지고 주민반감을 유도했다고 비판했다. 양측 모두 자기 태도를 고수하면서 좀처럼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상황을 중앙정부와 인천시는 바라만 보고 있어 안타까운 모습이다.
수소 경제는 수소생산 저장, 운송과 활용이라는 가치 체인 전반에 걸쳐 다양한 산업과 연계돼 고부가가치와 고용유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친환경 산업이다. 지속가능한 친환경에너지 도시를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수소연료전지발전소가 주민들의 수용성 이슈로 변질되는 것을 정부가 앞장서서 설득해야 한다. 기술이나 당위성만 주장하기보다는 주민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 홍보하고 설득해서 수용성을 높이는 노력을 해야 한다. 우선 안전에 대해 공신력 있는 안전검증과 규제제도를 조속히 마련해 주민의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 객관적인 안전성 평가와 안전설명서 작성 등도 필수적으로 선행돼야 한다.
지역주민들도 수소발전소를 단지 혐오시설로 간주해 반대하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 일부 시민단체와 지역정치인의 설득력 없는 왜곡된 정보에 현혹돼서는 안 된다. 전력 소비지역에 가까운 곳에 소규모 전기 생산 시설을 늘려 대규모 장거리 송전시설을 건설할 필요를 없애 사회적 갈등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분산형 발전소’ 확대정책을 이해하고 신뢰하는 적극적인 자세도 요구된다. 수소 경제는 미래 친환경 에너지로서 필연적인 분야이다. 큰 틀에서 에너지 정책을 이해하고 정부와 소통하면서 지역발전의 매개체로 활용하는 지혜를 발휘할 때이다. 혁신적인 에너지 정책을 선도적으로 활용하는 인천시민의 현명한 자세를 기대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