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용의 THE 클래식] 고전파음악의 시대적 배경

서양 문화사에서 1750년부터 1825년까지는 고전주의 시대로 분류된다.

고전주의 시대는 18세기 후반의 독특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시작되었다. 18세기 후반은 구체제(프랑스 혁명 이전의 유럽 사회 체제)의 몰락과 새로운 정치ㆍ경제 체제의 확립으로 특정 지워지는 시기였으며 특히 귀족으로부터 중산층으로의 힘의 전환이 이루어졌던 때였다. 이 시기의 지적 생활양식의 향상과 과학의 진보는 특히 눈부신 것이었다.

7년 전쟁(1756~1763)과 미국의 독립선언(1775), 프랑스 혁명(1789~1799), 노불전쟁(1812) 등은 유럽 여러 나라의 급격한 사회 정치적 변화를 촉구하였고, 칸트철학, 볼테르, 루소, 스미스 등의 문학 작품들, 고야, 레이놀즈 등의 예술 작품들은 사람들의 지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켰으며, 종두의 개발(1796)과 산소 및 수소의 발견(1774), 자외선 및 자기 유도의 발견 등을 과학을 크게 발달시켰다. 그 밖에도 증기 기관의 발명과 방적기, 전동기 등의 발명이 산업 혁명을 유도하였다.

고전주의 시대는 이러한 개혁과 계몽, 합리, 과학, 산업의 시대와 함께 그 문을 열었다. 라틴어의 ‘Classicus’는 원래 ‘납세자 계급에 속하는 사람’이라는 뜻이었고, 후에 ‘모범적’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고전주의’라는 말이 사용된 이래 그것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두 가지 의미로 정의되어 왔다. 문학과 예술에서의 가장 우수한 상태를 일컫는 일반적인 의미와 고대 그리스 및 고대 로마의 문화와 관련된 상태를 일컫는 특정한 의미가 그것이다. 그래서 고전주의라는 말 속에는 우수한 것의 극치를 지향하고자 하는 의욕을 담고 있고, 그와 동시에 그 우수한 것의 극치는 과거에 이미 성립되어 계속 존재해 왔으며, 그것은 전통을 계승함으로써 다시 도달될 수 있는 것이라는 인식을 담고 있다.

전통을 계승한다는 것은 자신이 외부와의 관계를 유지한다는 것을 뜻한다. 고전주의자들은 타인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고 자신의 개성이나 개인적인 경험을 예술 작품의 자아를 확대하고 구현하는 작업이라고 보는 것이 아니라, 작품 자체의 당위로 인하여 존재한다고 여겼으며, 예술 작품에 관련된 사고의 명료성과 형식의 아름다움에 관심을 쏟았다.

결과적으로 고전주의자들은 매우 객관적인 태도로 예술 작품을 다루고 있었던 것이다.

고전주의는 예술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의 적절한 통제 및 자제, 논리적 표현과 정교한 기교의 가능성, 이상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통찰력 등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견해는 예술가들로 하여금 작품 속에서 정연한 질서와 안정성, 화성적 조화를 추구하도록 고무하였다. 그래서 고전주의 예술은 ‘단순 명료하고 법칙에 따른 외적 상태’와 ‘자연적이고 유기적이며 긴장에 찬 내적 체험’을 결합함으로써 ‘형식과 내용의 이상적인 결합’과 ‘육체와 정신의 조화’를, 그리고 더 나아가 ‘아름다운 영혼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정승용 지휘자ㆍ작곡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