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본과 경제전쟁, 자신감으로 전화위복

일본의 도발로 시작된 ‘한일 경제전쟁’에 맞서기 위해 정부가 발 빠르게 나서고 전 국민이 호응하고 있다. 지난 주말에 고위 당·정·청 협의회를 개최하고, 정부와 업종별 대표의 공동 대책 모임, 부처 내 긴급 간부회의가 잇따라 열렸다. 여야 정치권에서도 방법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본을 규탄하고 냉철하게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전 국민이 나서 반일을 넘어 극일운동이 들불처럼 번져가고 있다.

인천 지역에서도 시민단체와 상인단체가 나서서 ‘NO아베, NO재팬 인천행동(가칭)’을 구성해 본격적인 불매운동에 나서기로 했다. 지역 내 주요 상권과 전통시장에서 일본 상품을 근절하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하고 구월동에 불매운동거리를 지정하기로 했다. 이러한 운동은 8월15일 광복절을 앞두고 인천 도심 곳곳으로 퍼져 범인천시민 촛불집회로 확산될 전망이다. 모처럼의 시민의 열기가 한데 모아지고 조직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으로 궁극적인 극일의 목표를 위해서 보다 냉철하고 체계적이며 장기적인 대응준비가 필요하다.

그동안 우리는 일본과 다양한 문제에 대해 단호하게 대처하지 못한게 사실이다. 한편으로는 핑계로 삼기도 하고 또 다른 면에서는 극한의 대립을 피하기 위해서 미봉책으로 넘어왔다. 그러다 보니 근원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제대로 짚고 넘어가지 못했고 이것이 누적돼 경제전쟁으로 폭발하는 모양새다. 우리가 일본을 제대로 알지 못했거나 일본이 우리를 간과해 본질적인 앙금을 해소하지 못한 누적된 결과의 모습이다. 일본과 우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냉철하고 되짚어 보고 예측하면서 현실적 대응을 모색해야 한다.

국가 간의 경제전쟁은 자국의 산업구조에서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을 때 승리할 수 있다. 일본의 무지막지한 처사를 정치 외교적 노력으로 해결하는 것은 단기적으로 효과는 있을 수 있으나 지속적이지 못한 미봉책에 불과하다. 근원적인 해결은 단기의 피해를 감수하고라도 산업구조의 개편과 산업생태계의 혁신을 통해 가능하다. 당장의 우리기업이 받을 충격을 최소화하고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완화와 집중투자에 혼신의 힘을 다해야 한다.

정부가 발 빠르게 나서서 관련 기업들과 협의하는 등 대처하고 있는 가운데 시민들이 함께하는 모습은 극일을 위해 큰 힘이 된다. 과거 우리는 IMF를 최단 시일 내에 슬기롭게 극복했고 그 성과로 완벽하지는 않지만 산업구조와 시장경제체제를 혁신했다. 그 이전에는 넘지 못할 벽으로 여겼던 소니와 미쓰비시를 삼성과 엘지를 통해서 극일한 생생한 경험도 있다. 극일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할 수 있고 승리한다는 자신감이다. 각자가 맡은바 역할을 자신 있게 완수하면 일본의 경제보복은 우리경제의 대전환 기회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