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20 월드컵 ‘준우승’ 쾌거] 리틀 태극전사들 아시아 축구 새역사 썼다!

‘죽음의 조’ 뚫고 FIFA 남자대회 사상 첫 2위

지난 6월 16일 오전(한국시간) 폴란드 우치 경기장에서 열린 2019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한국 대표 선수들이 목에 메달을 걸고 경기장에 응원 온 팬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지난 6월 16일 오전(한국시간) 폴란드 우치 경기장에서 열린 2019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한국 대표 선수들이 목에 메달을 걸고 경기장에 응원 온 팬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한국 20세이하(U-20) 축구 국가대표팀이 2019 국제축구연맹(FIFA) U-20 월드컵에서 준우승의 쾌거를 이뤘다. 정정용 감독이 이끄는 한국 대표팀은 16일 오전(한국시간) 폴란드 우치 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우크라이나에 1대3으로 역전패했다. 한국 남자 축구가 FIFA 주관 대회에서 준우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정용 감독과 21인의 젊은 태극전사들은 이번 대회 조별리그 ‘죽음의 F조’ 첫 경기에서 ‘우승후보’ 포르투갈에 0대1로 패하며 불안한 출발을 보였지만,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아르헨티나를 각각 1대0, 2대1로 연파하고 아르헨티나에 이어 조 2위로 16강에 진출하며 새로운 신화를 예고했다.

이어 16강전에서 오세훈(아산)의 헤딩 결승골로 ‘숙적’ 일본을 1대0으로 꺾은 한국은 여세를 몰아 세네갈과의 8강전에서 연장까지 120분간의 대혈투를 3대3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거미손’ 골키퍼 이광연(강원)의 눈부신 활약에 힘입어 초반 잇따른 실축 열세를 극복하고 3대2로 극적인 승리를 거두며 4강에 올랐다.

이후 ‘리틀 태극전사’들은 준결승전에서 최준(연세대)의 결승골로 에콰도르를 1대0으로 꺾고 한국 남자 축구 사상 최초로 FIFA 주관 대회 결승에 올랐다.

그리고 16일 대망의 결승전에서 한국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이강인(발렌시아)이 페널티킥 선제골을 넣으며 기세를 올렸지만, 수프리아하(2골)와 치타이시빌리에 연달아 3골을 내주며 우승 문턱에서 좌절했다.

다만, 한국 축구의 ‘희망’인 이강인은 이번 대회 2골·4도움을 기록하며 남자 선수로는 최초로 FIFA 주관 대회에서 우승국이 아님에도 역대 두 번째 최연소로 골든볼(최우수선수상·MVP)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세계 축구계를 짊어질 예비 스타들의 경연장인 FIFA U-20 월드컵에서 이강인에 앞서 골든볼을 받아든 역대 수상자들의 경력은 화려하다.

아르헨티나의 ‘축구 황제’ 디에고 마라도나가 1979년 일본 대회 때 조국을 우승으로 이끈 공로로 대회 최우수선수에 해당하는 골든볼을 품에 안았다.

이후 아드리아누(브라질·1993년)와 하비에르 사비올라(2001년), 리오넬 메시(2005년), 세르히오 아궤로(이상 아르헨티나·2007년), 폴 포그바(프랑스·2013년) 등이 골든볼의 주인공이 된 후 세계적인 스타로 성장했다.

한편, 18세 3개월 27일 만에 이룬 이강인의 이번 수상은 지난 2005년 메시가 18세 8일 만에 최연소 골든볼을 받은 이후 14년 만에 역대 두 번째 최연소 수상기록이어서 그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

이강인은 “우승을 목표로 했는데 이루지 못해 아쉽지만 다들 열심히 뛰었기에 후회는 없다”면서 “골든볼을 받은 건 제게 잘 해주고 경기장에서 하나가 돼 뛰어 준 형들 덕분”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16일 오전(한국시간) 폴란드 우치 경기장에서 열린 2019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 월드컵 결승 한국과 우크라이나의 경기. 전반 시작 전 한국 정정용 감독이 애국가를 부르고 있다.
16일 오전(한국시간) 폴란드 우치 경기장에서 열린 2019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 월드컵 결승 한국과 우크라이나의 경기. 전반 시작 전 한국 정정용 감독이 애국가를 부르고 있다.

글_황선학·이광희기자  사진_연합뉴스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