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시대의 음악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정치적 배경과 함께 바로크 시대의 건축양식에 대해 계속 알아보려 한다. 지난 시간에 설명 했듯이 바로크 시대는 르네상스와 매너리즘을 선행 스타일로 대체 하면서 이탈리아에서 시작 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전부흥의 기본 요소를 가지고 있는 르네상스 건축을 최고의 예술로 평가하는 반면에, 전통에서 자유로이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바로크는 말세적 예술 또는 타락한 예술로 보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바로크 건축이 신시대를 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은 결코 부인할 수가 없다. 이 새로운 표현형식은 16세기에 로마 교황청을 중심으로 전개된 카톨릭의 강력한 반종교개혁을 그 원동력으로 하여, 17세기에 완전히 발달 하였다.
카톨릭 교회의 부패를 바로 잡고자 마틴 루터와 죤 칼빈에 의해 종교개혁이 일어났고, 이로 인하여 교회 내부에 깊은 반성과 함께 부패했던 교회를 정화하기 위한 노력이 끊임없이 전개 되었다. 이 결과로 생긴 이 시기의 새로운 신앙의 모습은 영혼, 정신적인 면보다는 감각적인 면이 강하였다. 이러한 종교적 모습의 변화 속에 로마 교회에 사용되는 회화, 조각, 건축 등에 강렬한 감동을 주는 극적인 표현이 나타나고 있다.
슬픔, 기쁨, 절망, 종교적 황홀경 등과 같은 감정적인 면에 강한 관심을 보인 바로크의 예술가는 이러한 감정 상태를 연구하고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초상화는 인물의 위엄과 인격을 강조하고, 조각은 깊고 강렬한 순간을 표현했고, 건축에서는 르네상스의 건축요소를 계승하여 사용 하지만, 변형이 나타나고 그 수법이 자유롭고 대담하게 되었다. 또한 심한 요철에 의하여 생기는 음영으로 강한 동적인 감각이 느껴지도록 벽면의 장식을 화려하고 힘차게 만들었다. 즉, 건축에서는 화려함과 강렬함 그리고 활기찬 질서를 드러내고 있다.
바로크 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건축물은 1600년대 중반에 지어진 베르사유 궁전이다. 수천 개의 방을 가지고 있는 베르사유 궁전은 철저한 대칭적 구조로 설계 되었으며, 놀랄 만큼 웅장하다. 또한 전체가 거울로 장식된 회랑을 가지고 있다. 웅장함의 효과는 내부에서 뿐만 아니라 길게 늘어선 나무들, 연못 그리고 우아한 정원을 통해 외부에서도 계속된다.
바로크 건축에서 시간적 요소는 중요하다. 바로크 시대의 건축가들은 고립된 건물이나 고립된 공간에는 더 이상 흥미를 느끼지 않게 되었다. 모든 건축요소는 사람들이 그 안에서 내부공간을 두루 다니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도록 모든 구조를 연관적으로 구성하였다. 철저한 대칭구조와 함께 단순한 것과 복잡한 것의 대조, 광선과 음영의 대조, 큰 것과 작은 것의 대조 그리고 점차적 감각변화 속에서 제시하는 클라이맥스는 바로크가 가지고 있는 교향곡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정승용 지휘자ㆍ작곡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