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정상회담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문화 공연이 당시 회담 장소를 무대로 펼쳐진다.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가 이뤄진 뒤 사실상 처음으로 대규모 민간인 방문객이 판문점 남측 지역을 방문하는 의미가 있지만 북한은 행사에 참가하지 않아 아쉬움을 남긴다.
통일부와 서울시, 경기도는 27일 오후 7시부터 판문점 남측 지역에서 약 1시간 동안 ‘먼 길’을 주제로 한국·미국·일본·중국 아티스트들이 참여하는 ‘평화 퍼포먼스’ 행사를 한다.
퍼포먼스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함께 거쳐간 판문점 내 장소 6곳에서 대중음악과 클래식 공연,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공연으로 펼쳐진다.
먼저 남북 정상이 처음 조우한 군사분계선에서는 미국의 첼로 거장 린 하렐이 바흐의무반주 첼로 조곡 1번을 연주한다. 이어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기념식수를 한 판문점점 군사정전위원회 소회의실(T3) 옆 잔디밭 길에서 일본인 플루티스트 타카기 아야코가 작곡가 윤이상의 곡을 연주한다.
남북 정상이 단둘이 대화를 나눈 ‘도보다리’에서는 한국인 바이올리니스트 임지영이 바흐의 샤콘느를 들려준다.
양 정상이 국군 의장대를 사열했던 곳에서는 중국 첼리스트 지안 왕이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를 연주하고 악동뮤지션의 이수현이 애니메이션 포카혼타스의 OST인‘바람의 빛깔’을 부른다.
피아니스트 김광민과 가수 보아는 정상회담 장소였던 ‘평화의 집’ 맞은편 잔디에서 존 레넌의 ‘이매진’(Imagine) 공연을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마지막 순서로 작곡가 겸 연주가 정재일, 소리꾼 한승석, 오케스트라, 합창단이‘미디어 파사드’(외벽영상)와 함께 ‘저 물결 끝내 바다에’라는 곡을 평화의 집을 무대로 공연한다.
이번 행사에는 미국·일본·중국·러시아·독일 등의 주한 외교사절단과 유엔사 군사정전위 관계자, 서울시와 경기도 주민 등 500여 명의 내·외빈도 참석하며,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행사에 4·27 정상회담 1주년을 기념하는 영상 메시지를 보낼 예정이다.
이지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