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흥륜사에 있는 불화이며, 인천시 문화재자료 제27호로 지정됐다.
‘흥륜사 아미타불도’는 조선시대 그려진 불화로, 일부 채색이 박락되기는 했으나 비교적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구성은 가운데 아미타불좌상을 중심으로 주위에 보살과 사천왕상, 나한상 등이 둘러싸고 있는 단순한 구도로 되어 있으며, 황색 바탕에 짙은 붉은색과 남색, 밝은 녹색을 주로 사용했다.
아미타불의 좌우에는 백의(白衣)를 입은 관음보살과 세지보살이 배치됐는데 보관이나 천의 표현 등에서 화려하게 장식했으며 모두 녹색의 원형 두광을 갖추고 있다. 특히 백의관음이 협시로 등장한 것은 19세기 이후의 조선 후기 불화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아미타불상과 함께 현세의 기복적인 성격을 말해준다. 그 양옆으로 2구씩 배치된 사천왕상은 머리에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은 신장상의 모습으로 표현됐다. 현재 화기가 없어 조성연대를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전체 화면의 구성이나 채색, 세부표현 등에서 조선 후기의 ‘아미타불도’에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아미타불상의 머리표현과 백의관음의 등장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제작된 불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이다.
문화재청 제공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