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통과 공감으로 일자리 창출을

인천시는 지난 3일 2022년까지 고용률 71.2%, 실업률 3.9% 달성, 일자리 55만 개를 목표로 하는 ‘민선7기 일자리 정책 로드맵’을 공시했다. 행정부시장 주재 일자리대책 추진상황보고회 개최와 신설된 일자리경제본부장 중심으로 TF추진단을 구성 운영하고 외부전문가의 자문을 실시하였다. 향후 올해 초 발족예정인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되는 일자리 정책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3일 공시한 로드맵은 “더 좋은 일자리, 함께 만드는 인천”이라는 비전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혁신,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 맞춤형 일자리 지원, 행복한 일자리 만들기 등 4대 분야 14개 추진전략과 80개 실천과제를 설정했다. 민선 7기 출범 이후 꾸준히 준비한 내용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담아냈고 향후 주기적으로 이행상황을 점검하는 등 일자리 창출의 적극적인 의지를 밝혔다. 또한 일자리경제본부장은 ‘일자리 창출의 주인공인 기업과 소상공인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시민들이 요구하는 좋은 일자리를 함께 만들어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 인천을 만드는 일자리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좋은 일자리 창출을 강조하였지만 큰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일자리 증가는 전년의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져 국정지지도가 추락하는 큰 원인이 되고 있는 만큼 어려운 국가과제가 일자리 창출이다. 이러한 과제를 지방정부가 지역 특색에 맞게 구체적인 로드맵을 설정하고 강력한 조직과 행정력을 동원하는 것은 매우 의의가 있으며 지지받아 마땅한 것이다. 그러나 소통과 공감을 강조하면서 로드맵 설정에서 일자리 정책의 주인공인 기업과 주민의 의견을 먼저 수렴하지 않은 것은 다소 앞뒤가 맞지 않다. 시가 먼저 핵심과제와 전략을 설정하고 기업과 주민의 의견을 참고하는 모습으로 어떻게 진솔하고 실천적인 소통과 공감을 끌어낼 수 있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기업 및 소상공인과 주민의 의견 수렴이 우선 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어도 포기할 수 없는 일자리 창출이기에 핵심 주체들의 참여에 더욱더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 관주도의 정책에서 탈피하고 시민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민선7기 시정부 초심의 정책 방향이 훼손되지 말아야 한다. 기업과 시민이 소통하면서 공감하는 진정한 일자리 정책 로드맵이어야 그 실효성이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를 간과하고 단기간의 보여주기식 효과에 급급한 나머지 과거의 관행으로 회귀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 일자리의 창출은 시민이 원하는 것을 시장에서 기업이 앞장서서 자율적으로 만들 때 지속 가능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