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 3일은 세계장애인의 날이다. 올해로 26회를 맞는다. 이를 기념해 지난 22일 여의도 KBS홀에서는 전국장애인합창대회가 열렸다. 이들의 경연을 보면서 자신들이 겪고 있는 장애를 훌쭉 뛰어 넘어 도전과 희망을 갖는 것은 감동이었다. 장애에 따라 입장을 이해하고 음악을 통해 스스로의 치유는 물론 보는 이들에게 강한 메시지가 전달된다.
예전에 비해 장애인에 대한 대우나 사회의 시선이 좀 달라지고는 있지만 아직도 한계가 너무 많은 것 같다. 음악의 경우만 해도 장애인 합창단은 많지만 시립합창단처럼 직업화가 된 곳은 없다. 이들 역시 장애와 상관없이 오히려 더 높은 기량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필자가 지난해 합창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최초의 맹인합창단인 ‘라파엘 코러스’를 보면서 기존 합창단과는 차별화된 독특한 사운드 칼라와 메시지가 있어 국립이나 시립으로 승격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전국에 60 여개에 이르는 시립합창단이 있지만 장애인 예술가들을 직업으로 고용한 경우는 없다. 이것은 장애인 예술에 대한 치별이다. 그 연주력이나 전문성 이 언급되지 않아 제도화에 이르지 못한 것이 원인일 수 있겠다. 그렇다면 지급부터라도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이들이 상향된다면 장애인 복지는 한 차원 높게 발전해 갈 것이다.
이들 예술 활동을 지금껏 지원하고 오늘에 이르게 한 것은 참으로 땀 흘림의 수고가 아닐 수 없다. 전채 장애인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서도 모범적인 활동에 혜택을 부여했으면 한다. 이것은 개인이 쉽게 할 수 없기에 정부가 나서는 것이 당연한 책무다.
우선 장애인 예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있어야겠다. 이들에 대한 관심이
동정심 수준이라면 근본적인 문제 해결보다 겉돌게 된다. 솔직히 일반시민이나 행정가들이 알지 못하는 영역에서 이들의 권익을 드러내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을 것이다. 때문에 더 깊이 파고들어야 한다.
정의로운 사회에서 평등은 기회의 균등이란 날개로 나는 것을 말한다.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기에 지속적인 여론 환기가 필요하다. 말보다는 실행을 위한 절차가 무엇일까? 연구가 전제되어야 하겠다.
그리해서 사회 성숙도에 맞는 예술지원책이 필요하다. 장애인들이 희망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장애인의 날 하루만의 축제나 반짝 관심이 아니어야 한다.
합창단의 경우 장애와 정상인을 가르지 않는 공연도 늘어났으면 한다. 아울러 이들을 위한 전용 콘서트홀 건립이다. 현행 공연장에 가는 것은 난관이 많아서 공연의 즐거움 보다 피로가 더 크다. 사실상의 선택권이 제한되어 있다. 가끔은 장애인석을 만들어 놓은 곳도 있지만 휠체어가 놓이는 것을 보는 게 쉽지 않다. 또한 시각장애인이나 기타 장애를 안고 있는 이들의 특수 공간이 그래서 필요하다.
편하게 소통할 공간하나가 없다는 것은 푸대접이다. 환경장애라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에 심각성이 있다. 장애인의 날 축사하고, 상장주고 꽃다발 하나 주는 장애인의 날 보다 보이지 않는 눈물을 씻어주고 자긍심이 살아 날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갑질의 행태가 장애인에게 나타나지 않도록 시스템을 고쳐야 한다. 시각의 변화가 그 출발점이어야 한다.
탁계석 예술비평가회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