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통시장] 광명시장

지역사회 연계 봉사활동 활발 
나눔의 情이 있는 삶의 터전

제목 없음-1 사본.jpg
광명전통시장은 평일임에도 수많은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우리나라에서 규모로 열 손가락 안에 꼽히는 시장답게 없는 물건이 없었고 상인과 고객 모두 활기가 넘쳤다. 바둑판 형태의 다소 좁은 골목에 초행자는 길을 찾기 헷갈렸지만 그만큼 전통시장만의 매력을 한껏 느낄 수 있었다.

광명전통시장(광명시 광이로13번길 17-5)은 경기 시흥군 광명리가 시로 승격되기도 훨씬 전인 1970년대 초부터 지역민들의 삶의 터전으로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노점을 포함해 400여 개의 점포가 성업중이다. 광명시민은 물론 안양과 시흥, 인접한 서울 오류동과 개봉동 주민들도 주 고객층이다. 7호선 광명사거리역이 바로 앞에 있어 주말에는 강남권에서도 지하철을 타고 시장을 찾는다.

제목 없음-2 사본.jpg

광명전통시장은 중소기업청의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에 선정돼 2013년부터 3년간 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자생력강화사업, 기반구축사업, 이벤트사업 등 총 4개 분야에서 ICT기반 마케팅 시스템 구축사업, 시장통합브랜드 개발사업, 상인동아리 및 시장문화사업 등 세부사업을 진행해 상인문화기획단을 꾸리고 자생력 있는 전통시장으로 발전시켰다.

 

2014년에는 시장 내 9곳의 간판을 새롭게 단장했다. 전년도에 새롭게 구축한 광명전통시장 M.I(Market Identity) 및 캐릭터 ‘반짝이’를 활용했다. 특히 각 점포의 닫힌 셔터를 캔버스로 삼아 다양한 이미지의 일러스트를 그려넣은 ‘광명전통시장 셔터캔버스’ 사업으로 점포가 문을 닫고 난 밤시간에도 볼거리를 선사했다. 

 

또 상인동아리를 활성화시켜 ‘광명전통시장 문화의 밤’을 개최, 상인들이 댄스스포츠, 하모니카, 합창, 수화 등의 무대를 펼쳐 큰 호응을 얻었고 ‘서울 국제 하모니카 페스티벌’, ‘광명시장배 파이널컵 댄스스포츠 경기대회’ 등에 참가해 수상하는 성과도 거뒀다.

제목 없음-3 사본.jpg

지역사회와의 연계 프로그램도 적극 시행했다. 인근 광명초등학교와 협약을 맺어 어버이날 어린이들이 시장을 방문해 상인들에게 카네이션을 전달하는가 하면 어린이 홍보대사를 임명하는 등 잠재 고객인 어린이들이 시장을 친근한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했다.

 

1년에 6차례 열리는 정기 행사는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여름에는 점포에서 물건을 사면 응모권을 준 뒤 주사위를 던져 휴가용품 등 경품을 제공하고 ‘미리 잡는 가을’이라는 주제로 미꾸라지 잡기 이벤트를 펼쳐 잡은 만큼 선물을 준다. 또 추석 송편 나눔 축제, 할로윈 축제, 김장 축제에 이어 상인들이 산타가 되어 나눔을 실천하는 크리스마스 축제까지 광명전통시장에는 즐거움이 가득하다. 

 

지역사회 나눔활동이 활발한 점도 광명시장의 큰 특징이자 자랑거리다. 45명의 여성상인들로 구성된 여성회는 매달 반찬을 직접 만들어 쌀, 과일과 함께 복지사각지대 가구에 배달하는 반찬봉사를 6년여간 펼쳐오고 있다. 또 매주 월요일 점포마다 후원물품을 걷어 지역 복지관 및 주민센터를 통해 저소득 가정에 전달하고 있다. 

 

안경애 광명시장상점가진흥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상인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꾸준히 나눔을 실천하면서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시장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제목 없음-4 사본.jpg

글_구예리기자  사진_광명시장 상인회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