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산 학술·지표조사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 ‘문수사’ 추정 건물터 발견 학계 비상한 관심

▲ 강화도지도 중 2폭 19C후반 문수산성 및 갑곶진(부분확대) 수정1
▲ 강화도지도 중 2폭 19C후반 문수산성 및 갑곶진
김포시 월곶면에 위치한 문수산 문수사 일대에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로 추정되는 건물터가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재)김포문화재단(대표이사 최해왕)은 지난달 완료한 ‘김포 문수사 일대 학술 및 정밀 지표조사’ 결과 문수산에서 조선시대와 고려시대의 건물터로 추정되는 지역을 발견했다고 31일 밝혔다.

 

재단은 문수사의 역사적 가치와 연원을 규명하고 주변 유적의 유존현황과 효과적인 보존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재)국토문화재연구원에 의뢰해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고지도 및 고문헌 분석, 현장 지표조사 등 조사를 실시했다.

 

이 조사에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1호로 지정된 ‘문수사 풍담대사 부도 및 비’ 부근에 전하고 있는 ‘응진당대사비’ 일대의 평탄지와 건물터 추정지가 새롭게 발견됐다.

 

응진당대사비 일대의 평탄지에서는 3단의 석축과 함께 조선시대 백자편, 도기편 등이 발견됐다. 이곳은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전등사본말재산대장’에 ‘풍담대사 부도 및 비’와 함께 문수사의 재산으로 기록돼 있는 ‘상월당대사비’, ‘강월당대사탑’ 및 부도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판단되는 곳이다.

 

또 조선시대 건물터와 고려시대의 건물터로 추정되는 두 곳은 조선후기 지도에 ‘문수곡(文殊谷)’이라 표시된 곡부상에 위치하고 있다.

▲ 고려시대 건물지 전경
▲ 고려시대 건물지 전경

조선시대 건물터는 총 1천400여㎡로 2단의 석축이 확인됐으며, 조선후기의 자기편, 와편, 도기편이 발견됐고 특히 와편이 압도적으로 많아 건물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고려시대 건물터는 총 3천300여㎡로 잔존 높이 2m 가량의 3단의 석축이 확인돼 원래는 더 여러 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상당수의 와편, 도기편 등이 확인됐는데, 와편은 고려시대 기와의 특징인 어골문이 타날(두드리는 기법)된 것이다.

 

국토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문수곡은 현재 군부대로 인해 접근이 어렵지만 과거에는 문수산성 북문으로부터 문수사로 올라가는 주요 동선으로서 이 선상에서 확인된 건물터는 문수사와 관련된 건물일 가능성이 있다”며 “보다 명확한 규모와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훼손을 막기 위한 보존조치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최해왕 대표이사는 “학술적 목적으로 문수사 일대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문수사의 역사적 원형을 찾는 일에 한걸음 더 다가가게 됐다”며 “이번 조사는 문수사의 역사적 위상과 스토리의 폭을 한층 넓히는 계기로, 향후 추가적인 조사, 학술대회, 스토리텔링 등을 실시해 김포 문수산과 문수사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하나씩 밝혀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문수곡 고려시대 건물지 확인 와편 등
▲ 문수곡 고려시대 건물지 확인 와편 등
▲ 朝鮮五万分一地形圖(김포+경성+통진+고양)
▲ 朝鮮五万分一地形圖(김포+경성+통진+고양)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