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공공부문에서 창출된 신규 일자리 중 정규직 비중이 예년보다 큰 폭으로 내렸다. 반면, 무기계약직 신규 일자리가 과거보다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직원 500명 이상의 공기업·공공기관 136곳이 올해 1분기(1∼3월) 신규로 채용한 규모는 7천901명이다.
이 가운데 정규직은 약 73.1%인 5천778명이고, 무기계약직은 26.9%인 2천123명이다. 비정규직이나 파견·용역처럼 본사에 소속되지 않은 소속 외 근로자는 통계가 공개되지 않았다.
올해 공공부문 신규채용에서의 정규직 비중은 과거보다 크게 떨어졌다. 지난해는 연간 신규채용 2만 1천134명 가운데 정규직 비중이 93.3%(1만 9천726명)다. 재작년에도 총 1만 9천634명 가운데 정규직 비중이 92.6%(1만 8천178명)이었고, 지난 2015년에도 1만 8천23명 중 정규직은 89.8%(1만 6천185명)였다.
한국체육산업개발㈜은 올해 1분기 849명을 채용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신규채용 규모(21명)에 비해 40배 이상 많은 숫자지만 고용 형태는 모두 무기계약직이었다. 또 코레일네트웍스㈜(46명)·신용보증기금(25명) 등도 올해 1분기 신규 채용자를 모두 무기계약직으로 뽑았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공기업들이 갑자기 정규직을 한꺼번에 채용하기 어려우면 비정규직 대신 무기계약직을 늘려 채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공기업ㆍ공공기관으로서는 무기계약직을 많이 뽑아 고용 규모를 늘리면, 평가 때 좋은 점수를 받으면서도 정규직에 대한 부담은 줄일 수 있어 일종의 꼼수로 악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