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방선거의 흥행이 필요하다

지방선거가 불과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좀처럼 지방의 이슈가 부각되지 않고 후보자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하거나 정치인들만의 잔치로 끝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물론 아직 초반이라서 달아 오지 못한 측면도 있으나 민주당의 과열된 당내 경선상황에 비추어 보면 싱거운 본선이 우려된다. 얼마 전까지 출퇴근 시간에 시내 곳곳에서 치열하게 예비후보자들이 자기를 홍보하는 열띤 모습이 갑자기 다 사라진 것이 그 우려를 대변하고 있다.

‘드루킹 댓글’에서 시작한 정쟁 이슈가 여야 정국을 경색시키고 이어서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북미정상회담 이슈가 전국의 의제로 등장하면서 정치권에서 스스로 지방선거를 묻어버리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야당이 일방적으로 국회를 소집하고도 개회에 응하지 않은 어처구니없는 사태가 오늘의 여의도 모습이다. 도처에 비난이 빗발치고 있음에도 여야는 아랑곳하지 않고 당리당략에 몰두해 민생을 팽개치며 민의를 저버리고 있다.

여당은 현 시점의 문재인 대통령의 압도적 지지율과 높은 정당 지지율을 선거일까지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안일한 생각으로 중앙의 이슈를 선도적으로 해결할 의지가 없어 보인다. 여야가 조건 없이 협의하여 조만간 국회를 정상화하여 민주주의 꽃인 풀뿌리 지방자치를 활성화시키고 지역현안을 챙기는 성숙된 지방자치를 구현하는데 앞장서야 한다. 남북대화 및 북미회담과 같은 국정의 현안은 행정부에 맡기고 지방분권의 첫 걸음인 유능한 지역일꾼을 뽑는데 앞장서야 한다.

지방선거는 지역의 현안을 놓고 정책 경쟁을 하면서 주민의 선택을 기다리는 민주주의의 잔치다. 치열하게 지역 현안을 분석하고 주민의 수요를 파악하여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선택받도록 하는 공정한 과정을 거처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의 생략은 유권자들의 권리가 외면당하고 일방적인 정치 공급으로 고스란히 지역발전의 장애로 남게 된다.

지방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광역시장후보를 비롯한 지역일꾼들도 중앙정치의 폐해에 편승하여 구태를 답습하는 정치에서 벗어나야 한다. 친문을 앞세우거나 중앙당의 전략을 무차별하게 따르면서 지역현안을 등한시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 지역일꾼을 자임한 후보자들은 지역의 현안과 민심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공감하는 대안을 제시하여 그 자질을 스스로 평가받아야 한다. 지역의 일꾼이 기성정치를 흉내 내서 여의도 정치의 모습을 답습하지 말아야 한다. 지역의 일꾼은 본연의 장점과 특징을 이용해서 자기만의 정치로 시민에게 다가가야 한다. 특히 새롭게 일꾼으로서 나서는 신인 후보자야말로 기성정치인의 저명도를 등에 업는 안일한 구태를 과감히 버려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