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6·13 지방선거와 체육인의 선택

황선학 지역사회부장.jpg
“A가 도지사가 되면 경기도 체육은 망한다.” “B는 체육은 별로 좋아하지 않고 표 있는데만 모습을 나타낸다.” “C는 잘은 모르지만 체육을 좋아한다고 하더라.” “D는 체육에 대한 적극성이 남다르다고 하더라.”

 

6·13 지방 선거가 두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경기도지사 출마를 선언한 예비후보들을 놓고 도민들의 평가와 호불호(好不好)가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체육계 역시 후보 개개인의 체육에 대한 관심도와 기대감 등이 섞인 하마평이 무성하다. 앞으로 4년간 경기도정을 이끌 도백(道伯)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이야 당연한 것이지만, 체육인들이 특히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이유는 바로 도지사가 당연직으로 경기도 체육의 수장인 ‘경기도체육회장’을 맡게 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경기도체육회의 살림을 꾸려갈 예산 대부분이 도비 보조에 의해 이뤄지기 때문에 도지사 후보들의 체육에 대한 관심도와 열정이 어떻냐 하는 것은 체육인들에게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체육인들은 민선 7기 경기도정을 이끌겠다고 나선 예비 후보들 가운데 지지할 만한 후보를 선택하기 위한 검증과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이다.

 

도지사 예비 후보들 역시 선거기간 각 분야에 걸친 유권자들의 지지를 이끌어 내기 위한 바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각 당이 예년보다도 빠른 행보로 후보자 공천작업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예비 후보들은 이른 아침부터 출근길에서 도민들을 만나고, 시장과 상가, 각 스포츠클럽, 각종 행사장에서 자신의 얼굴을 알리고 지지를 이끌어내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 또한 예비후보들이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적극적이고 낮은 자세를 보이면서 각 체육단체와 유권자들은 마치 ‘슈퍼 갑’이라도 된 것처럼 봇물 터진 듯 요구사항을 쏟아낸다.

 

이달 하순께 여당의 도지사 후보가 결정되면 6·13 지방선거전은 본궤도에 올라 각 후보 캠프에서는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분야별 정책 브레인들이 굵직굵직한 공약들을 쏟아낼 것이다. 말 그대로 본선 대결이 이루어지는 셈이다. 하지만 그동안 6차례의 전례를 비춰볼 때 체육인들이 기대하는 체육관련 공약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다. 

선거 현장에서 쏟아지는 민원에는 대다수 후보들이 긍정적인 답변을 쏟아내지만, 정작 체육 현안에 관심을 갖고 공약을 내거는 후보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즉, 체육인들의 응집력과 감성을 이용한 득표활동에는 적극적이지만 정작 도정에 있어서 체육분야에 큰 비중을 두는 후보는 많지 않다는 얘기다.

 

이는 선거가 끝난 뒤 4년의 재임기간 동안 더욱 명확히 나타난다. 도지사가 된 이후 다른 분야 사안들에 밀려 체육분야에 대한 배려와 지원, 관심도는 더 현저히 떨어진다. 그러면서도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특정 선수의 국제적인 활약이 있을 때만 반짝 관심을 보이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것은 비단 경기도지사 뿐만이 아닌 대부분 정치인들이 보이는 일반적인 행태다. 항상 체육은 정치와의 함수관계에 있어서 홍보수단으로만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 모든 귀책사유는 바로 체육인들에게 있다. 선거 때만 되면 체육계 현안에 대한 당당한 요구와 정책을 이끌어내기보다는 무조건 적인 특정인에 대한 집단 지지, 혹은 개인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으로 후보자들을 따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번 6·13 지방선거에서는 향후 4년 경기도의 발전을 이끌고, 더불어 경기체육의 발전을 이끌 적임자가 누구인지 꼼꼼히 따져보고 지지와 선택을 할 때야 비로소 반복되는 후회와 체육에 대한 무관심이 사라진다는 것을 명심하자. 선택은 찾는 자 스스로가 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는 것이 민주주의의 참된 의미가 아닐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황선학 체육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