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인천지역 중견ㆍ중소기업과 노동자들이 오는 7월 시행을 앞둔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나섰다.
12일 경기ㆍ인천 중소기업계와 근로자 등에 따르면 인천의 화장품 용기 제조업체인 ㈜연우의 기중현 대표이사는 지난 9일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청원 게시판에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중소·중견기업의 경영 애로’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이 청원은 이날 오후 7시 현재 289명이 동의했다.
㈜연우는 정규직 1천550명, 연매출 2천500억 원 규모의 회사로써, 근로시간 단축을 적용하면 근로자들의 임금이 줄어 대량 이직으로 인력난이 발생하게 된다는 내용을 올렸다.
또 이 같은 인력난은 곧 제품 납기 지연으로 이어져 국내외 고객사로부터 불이익을 받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같은 청원에 ‘대부분 중소기업의 현실은 원청과 하청으로 이뤄지는 구조다. 납품가격 변화가 없는 현실에서 근로시간만 줄게 되면 종업원의 임금저하는 불을 보듯 뻔하다. 청원에 적극 동의한다’고 댓글에 공감을 표했다.
또 ‘다년간 국내와 독일현장에서 일해 본 경험상 사출성형 업장의 작업현장 근로시간 문제는 근로자의 동의하에 탄력적으로 운용돼야 한다’며 청원 내용에 동의하는 글도 올렸다.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경기도 내 근로자들의 불만도 터져 나왔다.
안산에서 일하는 노동자로 밝힌 이 청원자는 ‘하루 12시간 일하는 양을 8시간에 끝내야 하고 쉬는 시간은 더더욱 없고 팔다리가 부서질 듯 아프다. 2명에서 일하는 라인인데 1명으로 줄이고, 임금인상은 제자리고, 물가인상에 대출 빚을 갚을 돈도 없고, 근로시간 단축으로 죽고 싶다’고 호소했다.
이 청원에는 ‘생산직은 지나친 노동’, ‘동의한다’ 등 8건의 의견이 이어졌다.
이 때문에 경기ㆍ인천지역 중소기업들은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근로시간의 단축을 유동성 있게 단계적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업계에서는 법 적용을 받지 않는 인원으로 줄여 기업을 나누는 편법인 ‘기업 쪼개기’에 대한 말까지 나오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도내 한 자동차부품수출업체 대표는 “근로시간 단축은 회사의 문을 닫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라며 “주당 근무시간이 52시간이라고 해서 공장 라인이 끊겨 납품을 못하게 되면 수천에서 억대로 손해가 날 수도 있다. 일본처럼 1주가 아닌 1년 단위로 조정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