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무술년(戊戌年) 황금개띠해다. 무술년에서 ‘무’가 오방색 가운데 황색을 뜻하기 때문이다.
열두 띠 중에 인간과 가장 친한 동물을 꼽으라면 많은 사람이 ‘개’를 선택할 것이다. 개는 신석기시대부터 우리 곁에서 줄곧 공존해왔다. 때로는 자신의 뜻과는 상관없이 제사의 희생물이나 식용으로 이용되어 험한 일도 마다하지 않는 충직한 동물로 자리 잡았다.
경기도에 전해오는 옛이야기에 등장하는 개의 모습도 다르지 않다. 주인을 지키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훌륭한 개 이야기와 평생 고생만 하신 어머니가 개로 환생해 자식이 업고 전국을 구경한다는 이야기 등이 대표적이다.
조선시대에는 영모도(翎毛圖, 새와 짐승을 그린 그림)가 유행해 개가 등장하는 작품이 여럿 전해져 온다. 개 그림은 궁중에서 길상의 상징으로 자리 잡아 민간에 까지 확산돼 민화로 유행했다. 조선 중기에 <모견도>, <화조구자도> 등을 그린 화원(畵員, 왕실의 전속 화가) 이암(李巖, 1499년~미상)이 유명하다.
경기도박물관의 소장품 가운데 개를 소재로 한 조선시대 민화가 한 점 있다. 작가를 알 수 없어 우리가 붙인 그림의 제목은 <뛰노는 두 마리 개>(사진)다. 무척 귀여운 그림 속 개 두 마리는 부모 자식처럼 꼭 닮아있다. 양귀비꽃이 개화하는 따스한 봄날, 꽃밭에서 뛰놀다가 갑자기 나타난 무언가로 인해 동시에 한 곳을 응시하는 장면을 그렸다.
날아가는 나비라도 함께 본 모양인데 자못 진지하다. 눈이 커서 얼핏 보면 유명 방송인 전현무씨를 약간 닮았는데, 둘 다 보고 있으면 유쾌한 기분이 든다. 이 그림은 2018년 개띠 해 새날을 맞이하여 이달 말까지 경기도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