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연세대학교가 (주)에스엘바이오파머와 합작으로 송도국제캠퍼스에 바이오 신약 개발 공동연구기관인 ‘와이에스엘아이(YSLI)’관 착공식을 가졌다. 2008년 연세대 송도국제화복합단지 조성을 위해 첫 삽을 뜬 지 10년 만이다. 이 자리에서 인천경제청장은 “송도국제도시의 개발계획을 변경해서 11공구에 99만여㎡ 이상의 바이오단지를 추가로 배정하기로 결정했다”며 “경제청은 YSLI연구소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일견 공동주택용지를 산업용지로 바꿔 바이오단지에 추가로 배정하는 것은 인천의 미래 먹거리를 위해 의미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연세대의 일방적인 행태에 끌려가는 또 다른 특혜로 지적될 수 있다.
연세대의 특혜 시비는 2006년 안상수 전 시장과 정창영 전 총장이 매립 중인 7공구 654만여㎡ 중 30%를 연세대(181만여㎡ )에 3.3㎡당 약 50만원에 공급하기로 맺은 협약에서 출발한다. 이때 연세대는 세브란스병원과 해외 연구소 건립 등을 약속했다. 그러나 이 약속은 10년이 넘도록 지켜지지 않았고 지금도 그 가능성이 없다. 최근 지역 국회의원의 면담에서도 세브란스의료원장은 “계속된 의료환경 변화에 따른 병원 경영의 어려움으로 국제병원 개원이 여의치 않다”고 밝혔다. 나아가 연세의료원은 2020년까지 용인시 기흥구 동백 연세 의료복합 단지 내에 800여 병상을 갖춘 병원과 바이오·제약 등 첨단 의료산업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연세대의 이러한 처사는 지난달 개최된 연구소 착공식에 대해 그 진의를 의심케 한다. 그동안 국제병원 건립 약속을 시치미 떼다가 바이오연구소로 둔갑시켜 11공구 땅 싸움의 명분으로 가세한 모양새다. 송도국제도시의 마지막 땅 11공구를 놓고 지역 대학을 비롯해 많은 기관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인천경제청의 연세대 호의는 10년 전의 특혜 논란을 떠올리게 하는 행보이다. 특히 지역대학인 인하대와 인천대에 11공구 땅 배분에 극도로 인색하던 인천경제청은 이 두 대학의 요구를 어떻게 처리할지 궁금하다.
주거공간을 산업용지로 변경하는 개발 초심의 원칙은 칭찬받아 마땅하나 그 명분에 도취해서 절차적 원칙을 훼손해서는 안 될 일이다. 10여 년을 지나서도 약속을 지키지 않아 특혜 의혹과 불신을 안고 있는 특정 대학을 전폭 지원하는 행보는 인천시민의 공익을 저해하는 것이다. 개발계획을 충분한 시민 의견수렴도 없이 특정기관의 개발계획에 의해 변경하는 것도 구태의 하나로 비판받아 마땅하다. 인천경제청은 투명하고 합리적인 행정으로 연세대의 봉이란 멍에에서 벗어나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