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켜보면 북성포구는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부터 수산물 유통을 위해 지어지기 시작했고, 산업화 시대를 거치면서 주변에는 공장들이 빼곡하게 들어서 왔다. 이러한 북성포구에 지난 1년간 지역의 관심은 뜨거웠고, 무수히 많은 논쟁이 오고 갔다. 오염된 일부 갯벌을 매립하여 악취해소와 환경개선을 도모하고자 하는 지역주민과 갯벌과 포구의 고유한 가치를 보존하고자 하는 시민단체 간의 입장이 나름의 논리로 무장한 채 팽팽히 맞섰기 때문이다.
과연 묻어 버려야 하는 인천의 악취일까? 아니면 보존해야 할 역사의 산물일까? 이 문제로 지속적인 논쟁을 이어가는 것은 서로에게 깊은 상처와 앙금으로 남을 수 있기에, 이제는 북성포구 매립에 대한 정확한 상황진단을 통해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해 가야 할 시점이다.
북성포구 갈등의 발단은 2010년 인근 지역주민들이 십자굴 일부를 매립해 달라고 지자체를 통해서 중앙정부에 매립청원을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수십 년간에 걸쳐 북성포구로 흘러든 각종 오폐수와 공장 하수가 갯벌을 오염시켜 견디기 힘든 악취를 유발하므로 매립을 통해 악취를 해소하고 조성된 부지에 공공시설을 도입해 환경개선을 도모해 달라는 취지다.
하지만 2016년말 시민단체는 매립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반발했다. 북성포구가 가지고 있는 갯벌의 자연적 가치와 포구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매립은 절대 불가하며, 갯벌 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연 매립만이 최선인지에 대해 강하게 반문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시민단체에서 감사원에 청구한 공익감사는 기각되었다. “포구 주변을 매립해 친수공간을 확보하고 지역주민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는 사업 취지를 인정한 것이다. 지역주민들은 환영의 뜻을 나타내며 조속한 사업 착수를 촉구한 반면 시민단체는 유감을 표명하며 환경개선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을 요구하고 있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도 사업 추진을 마냥 방치하고 있을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해서, 갈등을 다루는 전문기관과 협의해 갈등의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파악된 문제점들과 절차적으로 미비한 사항들을 보완해 나갈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해당사자간 갈등의 폭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아보고 이를 사업추진 중에 반영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또 조만간 실시계획공고 등 행정절차도 재개할 예정이다.
우리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북성포구 매립을 진행하게 되더라도 갯벌과 포구가 가진 가치를 존중하고자 노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다툼에서 상생과 협력을 통해 인천시민 모두가 북성포구의 옛 명성을 되찾고자 하는 노력에 힘을 모아 주실 것을 부탁드리고자 한다.
임현철 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