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박경민 신임 해양경찰청장, 책무 막중하다

부활되는 해양경찰청 청장에 박경민(54) 인천경찰청장이 지난달 26일 임명됐다. 해경 부활은 지난 2014년 4월 세월호 침몰 참사 이후 해체돼 국민안전처로 편입된 지 2년 8개월 만이다. 어느 조직이든 내부 개혁은 인사로부터 시작된다는 점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박 청장 임명을 각별하게 주목하게 된다. 박 청장의 발령은 해경 조직을 재정비 강화하는 중요성 때문에 다른 부처장 인사와 남다르다. 따라서 이제 박 청장이 해야 할 일은 자명하다.

우선 세월호 침몰 사고에 초동 대처를 제대로 하지 못해 불명예스럽게 해체당해 국민안전처에 편입돼 위축됐던 조직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조직원을 활력적으로 추슬러야 한다. 세간에선 박 청장의 해경 수장 기용을 두고 “또 육지 경찰 출신이냐”는 우려와 비판이 없는 건 아니다. 마음이 언짢겠지만 그럴수록 해양경찰청장으로서의 해양 주권 수호와 해양 안전 등 해양행정 실무능력을 엄격하게 시험받는 좋은 기회로 삼아야 한다.

세월호 사건을 겪으면서 여실히 나타난 건 해경이 ‘해양 안전에 만전을 기 한다’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거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청장에 육지 경찰 출신이 줄줄이 부임했다는 점이 지적됐다. 해체 전 김석균 청장에 이르기까지 13명 중 11명이 육경 출신이다. 해경 출신이나 해양 전문가들은 해경에서 빛을 보지 못했다. 상황이 이러했으니 일각에서 또 육경 출신이냐는 비판의 소리가 나올 만도 한 거다.

특히 역대 정부가 임명한 청장 13명 중 함선을 타본 사람은 단 한 명뿐으로 알려졌다. 또 해체 당시 경무관 이상 최고위직 14명 중 7명은 해경 함정을 탄 경험이 전혀 없다. 상황이 이러니 해경조직은 세월호 사고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해경 조직원 상당수가 해양 근무 경력이 없다는 건 기형이다. 신임 박 청장은 이런 점을 뼈아프게 느끼고 해경 조직을 과거와 완전히 다르게 개조해야 한다. 해양계서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온 “해경이 발에 물을 묻히려 하지 않는다”는 비아냥을 듣지 않도록 청장 자신부터 솔선 변신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바다의 위험 사태에 대비, 소홀했던 해경 간부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잠수와 구조 훈련 등 체계적 교육을 강도 높게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그래야 강건한 해경이 될 수 있다.

3면이 바다인 우리는 세계적 강대국들과 바다로 국경을 맞대고 있다. 그런 그들이 우리 바다 일부를 넘보고 있다. 중국은 경비함과 항공기로 수시로 우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정찰하고 있다. 일본도 툭하면 독도 인근 해상에 순시선을 보내고 있다. 해경은 기본 임무 중 하나가 해난 구조와 우리 어선 보호·해양 오염 방지이지만, 해양 주권을 수호해야 하는 기관이기도 하다. 해양 주권 수호는 해경 조직을 군사 조직에 버금가는 장비와 인력을 대폭 보강해야 가능하다. 신임 박 청장의 책무가 막중하다. 부활되는 해경의 대변혁을 기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