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경기도 일자리 정책] 은퇴 후 재취업 벽 부딪힌 ‘162만 베이비붐 세대’

道 일자리창출지원사업 등 혜택 미미
4가구 중 1가구 빈곤 우려, 대책 필요

제목 없음-1 사본.jpg
경기도내 거주하고 있는 162만여 명에 달하는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이 눈앞에 다가오면서 이들의 재취업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1/4가량의 제대로 된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해 퇴직 후 절대 빈곤 상황에 처할 것으로 예상돼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11일 경기도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도내 베이비붐 세대는 현재 162만4천여 명에 달한다. 베이비붐 세대는 6ㆍ25전쟁의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인 지난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국민을 칭하며,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을 이뤄내기까지 우리 사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 세대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베이비붐 세대들은 지난 2~3년 전부터 대부분의 직장 정년인 만 60세를 넘어서기 시작, 직장에서 퇴직한 후 사회로 나오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의 막내 격인 1963년생 역시 현재 만 55세로, 5~6년 후에는 모든 베이비붐 세대들이 사실상 현 직장에서 퇴직하게 된다.

 

경기도는 이러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대비하기 위해 ‘4050 재취업 지원’과 ‘5060 베이비붐 세대 퇴직자 일자리 창출지원’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014년부터 시작한 ‘4050 재취업 지원사업’은 베이비붐 세대에 취업특강과 교육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며 최종적으로 취업을 시켜주는 사업이지만 지난 3년간 취업 혜택을 받은 중장년은 840명에 불과하다.

 

‘5060 베이비붐 세대 퇴직자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은 경험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전문성을 갖춘 중장년 은퇴인력을 매칭시켜주는 사업이지만 이마저도 지난해와 올해 총 40명가량의 베이비붐 세대들이 혜택을 받는데 그쳤다. 이들 2개 사업의 대상자를 모두 더해도 경기도의 정책 혜택을 받은 베이비붐 세대는 880명밖에 되지 않는데, 이는 도내 베이비붐 세대 전체 인구 중 0.05%밖에 혜택을 받지 못하는 셈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경기연구원이 도내 베이비붐 세대 8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후준비 실태조사 결과, 이들 가구의 예상 노후소득이 월 176만4천 원으로 조사됐고 또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노후에 적자가 예상되는 가구의 비중은 19~34%로 조사됐다. 베이비붐 세대 4가구 중 1가구는 절대적 빈곤이 예상되는 것이다.

 

‘창업’에 나선 베이비붐 세대 퇴직자들 역시 어렵긴 마찬가지다. 지난 4월 중소기업연구원이 발표한 ‘위기의 400만 명퇴·은퇴 창업, 어떻게 할 것인가?’ 발표자료를 보면 정년퇴직자 중 창업경험 비율은 13.3%이며 이 중 창업실패 비율은 48.6%에 달한다. 2명 중 1명은 창업에 실패한 것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경기도를 비롯한 정부 및 지자체가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 진출에 대비하기 위해 단발성 사업이 아닌 ‘종합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도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경기도를 보면 50~60대 베이비붐 세대를 담당하는 담당부서도 없는 등 베이비붐 세대 퇴직자에 대한 심각성을 깊게 깨닫지 못하고 있다”며 “노인복지 영역을 ‘예비노인’까지 확대해 노인복지의 패러다임을 바꿔 베이비붐 세대 퇴직자에 대한 대책을 하루빨리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허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