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출범 맞춰 4차 산업혁명 등 신속한 공약·과제 점검 시의적절” 경기일보 독자권익위원회 회의

‘비정규직의 절규…’기사 시선집중
내각 人事 등 나열식 보도 아쉬워
스포츠면 생활체육 기사 늘려야

24일 경기일보사 1층 소회의실에서 열린 경기일보 독자권익위원회 회의에서 독자권익위원들이 지난 한 달간의 본보 보도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전형민기자
24일 경기일보사 1층 소회의실에서 열린 경기일보 독자권익위원회 회의에서 독자권익위원들이 지난 한 달간의 본보 보도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전형민기자

-5월10일자 ‘경기도를 4차 산업혁명 전초 기지로, 문재인 당선자 공약 즉시 이행해야’ 사설은 시의적절한 지적이었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이를 5월12일자 ‘道 균형발전ㆍ교통문제 해결 역점 4차 산업혁명ㆍ평화경제 중심지로’ 전해철 의원 인터뷰로 잘 이어갔다. 신문이 어젠다를 세우고 이를 끌어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와 함께 교통 정책, 골목 상권 등 대통령 공약 관련 이슈를 후속보도로 계속 잘 이어가기를 바란다.

 

-5월16일자 ‘비정규직의 절규, 우리는 리모컨이 아니다’는 한 달간 기사 중 가장 눈에 띄었다. 잇따라 나온 후속보도까지 좋았다. 비정규직의 온상은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서 많이 발견된다. 학생들이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구별해 대할 정도다. 그들의 머릿수 자체는 적을지라도 중요한 문제인 만큼 이를 지적하는 기사가 나오기를 바란다. 언론은 비판 정신이 살아있어야 가치가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5월24일자 ‘대형 바퀴벌레의 습격’ 신선했다. 후속 보도가 기대된다.

-문재인 대통령의 주요 공약 중 하나가 ‘광역단위 자치경찰제’다. 이는 권력을 분산하는 중요한 변환점이다. 영국과 일본처럼 치안이 전면적으로 개편되고, 이 공약을 가장 강력히 원한 곳이 경기도였지만, 아직 이와 관련된 기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문제를 깊게 분석해 수사권 조정, 정보력 행사 등과 같이 살펴봐야 한다.

 

-5월24일자 ‘법정 선 박근혜ㆍ자살한 노무현, 모두 제왕적 대통령制 참상이다’ 사설에서 제왕적 대통령제의 해답으로 개헌을 제시했다. 하지만 대부분 행정학 연구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이제까지 문제는 한국적 대통령제라는 특수성에서 파생한 것이다.

더구나 개헌은 변화의 시작이지 완료가 아니다. 개헌 시행보다 개헌의 방향이 중요하다. 제왕적 대통령제가 만들어낸 문제의 해결방향은 ‘대통령은 모든 일을 결정할 수 있고 바꿀 수 있다’는 대중의 인식을 바꾸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 당선 후 경기도와 연관된 인사가 속속 나오고 있다. 이들을 나열하는 단순 기사보다 이들이 도의 어떤 현안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기사로 풀어주길 바란다.

 

-5월22일자 ‘경인지역 뒷목 잡는 어르신 전국 최다’ 기사에서 고혈압ㆍ당뇨병을 다뤘지만, 현황만 나열해 아쉬웠다. 만성질환인 고혈압의 예방책 등 의학정보를 더 담았어야 했다. 고혈압ㆍ당뇨병 같은 보편적인 질환은 독자들이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지역별 보건소의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 같은 실질적 정보를 더 제시해주기 바란다.

 

-문화, 체육 면은 독자를 실질적으로 유입하는 섹션이다. 이를 더 활용해야 한다.

제목 없음-1 사본.jpg
-5월24일 신문처럼 중앙지의 주요 소식과 지역지만의 신선한 기사를 적절히 혼합한 좋은 편집이 이어지기를 바란다.

 

-문화예술 영역이 너무 중앙집중된 현실을 지적해주기 바란다. 경기도민들은 서울 예술의전당 같은 곳에서 펼쳐지는 수준 높은 공연을 도내에서 관람할 수 없다. 성남아트센터 정도를 제외하고 고품질의 문화콘텐츠를 즐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지자체에서 동네 축제 같은 단순 행사에만 예산을 집중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수준 높은 문화예술인들이 경기도를 떠나고 있다.

 

-스포츠면이 너무 엘리트 체육 위주로 짜여 있다. 생활체육 기사는 거의 없다. 프로들의 엘리트 체육은 이미 인터넷, 모바일 위주로 유통되는 현실이다. 신문은 생활체육을 파고들어야 한다. 건강관리ㆍ생활 운동도 생활체육 성격이지만, 의학 면에서 작게 다룰 뿐이다. 생활체육 기사는 독자를 끌어당기는 콘텐츠인 만큼 비중을 늘려야 한다.

 

-지역별 걷기대회 같은 체육행사도 좋지만, 경기도 차원의 행사도 필요하다. 서울시는 시 전체를 아우르는 체육 행사가 매년 열린다. 경기도의 면적 등 한계가 있겠지만, 도 정책상 문제는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최근 도 체육대회를 분석한 기사가 부족했다. 실제로 이번 대회의 순위 산정을 많은 사람이 금메달 개수로 생각하겠지만, 그렇지 않았다. 화성시가 이 규칙을 활용한 전략으로 우승까지 거둔 만큼 이에 대한 정보를 기사에서 담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이 같은 순위 산정방식이 문제가 없는지, 순위 경쟁 때문에 발생하는 지자체 간 위장 전입 문제도 다루기를 바란다.

 

정리=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