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늙고 실업자 어려져…심화되면 기업 구인난"

고령화가 계속되면서 취업자 평균 연령대는 높아지고 실업자 연령대는 반대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현상이 장기화되면 기업 구인난이 보다 심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7일 발표한 ‘산업 일꾼들이 늙어간다’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산업 평균연령은 2013년 40세에서 2015년 41.1세까지 상승했다. 또 최근 5년 동안 취업자 평균연령은 2.1세 높아져 고령화가 빨라지고 있다. 반면 실업자들의 평균연령은 떨어졌다.

실업자 평균연령은 2015년 38.0세를 넘어섰지만 2016년 37.7세로 오히려 0.3세 낮아졌다. 최근 청년층이 취업에 어려움을 겪으며 실업자 평균연령이 낮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성별로는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이 활발해지며 여성 취업자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여성 취업자의 평균연령은 2010년 36.1세에서 2015년 39.6세로 3.5세 늘어났다. 같은 기간 남성 취업자는 40.3세에서 41.9세로 1.6세 상승하는데 그쳤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던 중·고령층의 여성이 가구주의 소득 부진, 교육비 부담 증가,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등을 위해 보건복지, 사업지원서비스 등의 일자리에 적극적으로 진입하면서 여성 취업자의 평균연령이 빠르게 올라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저부가 업종에서 고령화 추세가 두드러졌다.

 

농림어업(45.1세)과 광업(49.2세) 등 1, 2차 산업에 종사하는 취업자들과 부동산임대(54.6세), 운수업(46.9세), 하수 폐기물(46.4세) 등 산업 종사자들의 평균연령이 가장 높았다.

 

반면 출판 영상방송(36.6세)이나 전문과학기술(38.5세), 금융보험(38.7세) 등 지식기반서비스 산업의 취업자들은 비교적 어렸다. 

직종별로는 관리자와 단순 노무 직종이 각각 49.1세로 평균연령이 가장 높았고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른 전문가 및 관련 직종의 평균연령은 38.0세로 가장 낮았다. 

사업장별로는 영세사업장의 취업자 고령화 현상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난데 이어 5∼9인 규모 사업장의 취업자 평균연령은 42.1, 10∼29인 규모 사업장은 42.3세로 평균을 웃돌았다.

김동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