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를 빛낸 역사 인물] 이덕형(1561~1613)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파병 성사시킨 문신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문신.

 

이덕형은 어려서부터 침착했으며 재주가 뛰어났다. 이항복과 교류하며 많은 일화를 남겼다. 1580년(선조 13) 급제해 이정립·이항복과 함께 ‘경진 삼이(庚辰三李)’로 불렸다.

 

1590년 왜의 사신을 반송(伴送)하여 동래까지 내려갔으며, 이어 통신사 황윤길(黃允吉)과 김성일(金誠一) 등을 부산포에서 전송했다. 그 후 직제학에 임명되었고, 동부승지와 이조참의, 부제학, 대사간, 대사성 등을 차례로 지내고 이듬해 예조참판이 되어 대제학을 겸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세자로 광해군(光海君)을 세우도록 했다. 전란 중 명나라로 가서 파병을 성사시켰다. 통제사 이순신이 하옥되자 죄가 없음을 밝혀 구원하려 노력했다. 1601년 행판중추부사로 경상·전라·충청·강원 4도 체찰사를 겸해 전란 뒤 민심 수습과 군대 정비에 애썼다.

대마도 정벌을 건의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영의정에 올랐다. 광해군이 즉위하고 영창 대군의 처형과 폐모론이 나오자 이항복과 함께 이를 적극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당했다. 저서로 <한음문고>가 있다. 문고의 내용 중 대부분이 임진왜란과 관련한 것이다. 향토문화전자대전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