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운대학교의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교육관이 의심스럽다. 청운대는 인천캠퍼스 부지를 취득하면서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약속하고, 1천억원대의 특혜를 받았다. 하지만 지역사회에 봉사하고 소통하는 대학의 역할을 저버린 채 지역공헌 활동은 전혀 없는 상태다. 지역사회 기여도가 0점이다. 몰염치하다. 특히 인천캠퍼스엔 지역사회와 협력을 위한 조직조차 없어 사회공헌 활동을 아예 포기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청운대는 지난 2012년 남구 도화동 부지를 인천시와 수의계약으로 631억원에 매입, 인천캠퍼스를 조성했다. 당시 부지 조성 원가는 적게 잡아도 1천600억원으로 평가됐다. 뿐만 아니라 인천시가 매입 가능 대상자를 전국에 2개뿐인 산업대(청운대·호원대)로 특정해 특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누가 봐도 특혜다. 이 같은 특혜 논란에도 불구하고 청운대 인천캠퍼스 유치 당시 기대했던 산·관·학 협력 등 지역사회 공헌활동은 전혀 없는 상태다. 재학생도 10개 학과에 당초 예상 3천500명보다 적은 2천명에 불과하다.
청운대가 인천캠퍼스 부지 계약 당시 남구와 약속했던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정책개발’ ‘우수인력 양성을 위한 상호협력’ 등은 하나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 상황이 이러니 대학 자체에 지역사회 공헌을 위한 주도적인 사업이 있을 리 없다. 단지 시·구에서 주최하는 토론회 등에 교수들이 개인적으로 참여할 뿐이다.
청운대는 인천시가 지역 대학과 진행하는 각종 사회공헌형 사업도 외면하고 있다. 시가 운영하는 ‘인천지역,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공동훈련센터’엔 인하대·인천대 등이 참여하고 있지만, 정작 산업대인 청운대는 모른 척하고 있다. 인천캠퍼스엔 아직 지역사회와 소통·협력할 대외협력팀이나 홍보팀도 없다. 애초부터 지역사회와 담을 쌓고 있는 거다.
이렇게 된 데는 행정기관의 책임도 크다. 인천시는 청운대 유치 목적의 실현 여부, 지역사회 공헌과 기여도 등 기본적인 개요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시는 지역발전을 명목으로 청운대 인천캠퍼스 유치에 혈세 1천억원만 허비한 셈이다. 특혜를 동반한 유치 의도와 과정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시 관계자는 대학유치 목적에 대해 담당부서 해체로 정확히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무책임하기 이를 데 없다. 남구도 무심하긴 마찬가지다. 당국은 이제라도 청운대 유치 목적과 취지를 살려 상생 협력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 대학 측도 사회적 공동체의 일원으로 지역사회 봉사와 소통을 고귀한 가치로 인식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나눔과 협력을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지역사회와 고립되면 대학발전도 어렵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