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안은 민간시설에서 충전시설을 설치할 경우 국가와 지자체가 비용의 일부를 지원할 수 있도록 했으며, 설치장소를 비롯한 이용정보를 인터넷 등에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
지난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전국 장애인 전동보장구 이용자 수는 총 11만 2천204명이며, 전동보장구를 필요로 하는 장애인도 26만 3천830명에 달해 전동보장구 이용자가 매년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2014년 기준 전국에 설치된 급속충전시설은 1천115대이며, 절반이 넘는 625대가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에 편중돼 있는 반면 장애인들의 이용이 많은 문화시설, 의료시설 등 민간편의시설에는 157대가 설치돼 설치율이 14%에 그치고 있다.
김 의원은 “장애인 편의시설이 장애인들의 편의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전시행정에 머물고 있다”면서 “차후에 전동휠체어의 안전운행권 보장 등에 관해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