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미래다] 경제적 부담, 사회가 분담

지자체 잇단 출산장려금 부활 강화, 모든 출생아에게 30만원
계양·동·중구 등도 예산 확보 전문가 “일·가정 양립 지원을”

“대한민국의 미래(아이)를 만들어 가는 여러분을 응원 합니다.”

 

인천시와 지자체들이 출산 장려 정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11일 시와 각 군·구에 따르면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중단 했었거나 축소했던 출산장려금 부활을 위해 관련 조례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강화군은 모든 출생아에게 30만원을 지급하고 첫째아에게 매월 10만원씩 2년간 지원한다. 또 둘째는 15만원씩 3년간, 셋째부터는 20만원씩 3년간 지원에 나섰다.

 

계양구도 작년부터 출산장려 조례를 만들어 첫째 15만원, 둘째 20만원, 셋째 300만원, 넷째부터 5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위해 구는 올해 예산만 12억 6천만원을 책정했다.

 

동구도 올해 6억원의 출산장려금 예산을 세워 첫째아에 50만원, 둘째 100만원, 셋째 이상 300만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하며 출산 가정을 응원하고 있다.

 

이밖에 중구는 양육지원금의 명목으로 셋째 이상 다자녀 가정에 월 10만원씩 2년간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위해 올해 예산으로 6억원을 확보했다.

 

또 남구는 출산장려금 대신 양육지원금을, 남동구도 셋째아부터 신생아 건강보험료 지원을 위해 2억7천만원 예산으로 잡는 등 각자의 사정에 맞춰 우리의 미래를 지원하고 있다.

 

예산 문제로 출산장려금을 중단했던 인천시도 올해부터 모든 출생아들에게 15만원 상당의 출산바구니를 전달하는 것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출산 장려 정책을 늘려 나갈 방침이다.

 

오는 5월 출산 예정인 정모씨(32)는 “출산장려금에 따라 출산 여부를 결정 하지는 않지만 시나 군·구가 출산에 대한 관심을 가져 주는 모습 자체가 중요 하다”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미래 출산세대인 청년들이 경제적 부담감때문에 출산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 시나 지자체는 물론 우리 사회가 이들을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구보건복지협회 관계자는 “시나 지자체들의 경제적 지원은 ‘겁먹은 청년’에게 출산이 주는 축복을 경험할 수 있도록 이끄는 계기”라며 “경제적 지원이 어려운 시나 지자체는 일자리를 늘리고 일·가정 양립 문화를 확산시켜 주면 출산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의 한 관계자는 “인천은 인구 300만 도시로, 계속 성장해 왔고 앞으로도 성장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시는 미래 주역인 청년들과 아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인엽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