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루원시티 사업, 새 생존전략 필요하다

인천시의 루원시티(LU1 City)개발 사업이 10년 만에 재추진된다. 인천시는 지난 2006년 도시개발 구역으로 지정된 후 부동산 경기 침체로 진척되지 못한 루원시티 도시재생 사업을 오는 20일 착공, 2018년 12월 완공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3월 공동 사업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답보상태인 루원시티 사업 정상화를 위한 합의서를 체결, 각종 인허가 등 사업 추진 절차 준비를 해왔다.

루원시티 개발은 서구 가정오거리 일대 93만3천916㎡ 부지에 77층 쌍둥이 빌딩을 비롯해 아파트 9천666가구(2만4천361명 입주)를 짓고 시교육청을 이전, 교육행정타운 조성 등 입체복합도시를 만드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당초 계획으론 지난 2013년 이미 완공됐어야 했다. 하지만 2008년 국제금융 위기 이후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어 LH가 건물·토지를 보상했을 뿐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인천시가 LH와 체결한 사업 정상화 합의서엔 루원시티 추진의 가장 큰 걸림돌인 사업성 확보책으로 루원시티 일원을 입지규제 최소구역으로 지정하고 주거 공간 축소, 일반상업 및 중심상업지구 확대 방안 등이 들어 있다. 또 지난 7월 30일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과 내년 3월 개통 예정인 제2외곽순환도로 등 교통 인프라 구축이 루원시티 개발 호재로 작용할 걸로 전망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이런 긍정적인 여건에도 불구하고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우선 착공 시기가 좋지 않다. 정부는 지난 8월 밝힌 ‘8·25 가계부채 관리 방안’에서 택지 공급 물량의 축소를 밝힌 데다 ‘11·3 부동산 대책’과 금리 인상 등 악재가 쏟아져 부동산 시장이 급격하게 냉각되고 있다. 시교육청 이전 논의도 답보 상태다.

또 그동안 사업의 결정적인 좌초 원인이 됐던 문제점도 그대로 남아 있다. 개발지 조성 원가가 3.3㎡당 2천120만원으로 송도(194만원), 영종(365만원), 청라(407만원)보다 5~10배가량 비싸 사업의 최대 장애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LH가 지금까지 이 사업에 쓴 돈은 토지 보상비 등 1조7천억원으로 하루 이자만 2억4천만원에 달한다. 사업을 재개하려면 또 1조2천억원을 투입해야 한다. LH는 이대로 사업을 추진하면 1조5천억원의 손실을 예상하고 있다. 이런 악재들을 극복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주민에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종합병원과 해외 의료 관광객을 유치할 메디텔(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호텔)·대형 유통시설 등 차별화된 다양한 앵커시설(상권 유도시설)을 유치해 사업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