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서 道무형문화재 학술 심포지엄
경제적 지원정책·육성방안 등 모색
경기 혼(魂)과 맥(脈)의 정수, 경기도무형문화재의 위상을 제고하고 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위해 학계와 무형문화계의 제언을 나누는 자리가 마련됐다. 과천시 문원동에 소재한 경기소리전수관서 8일 오후 2시께 열린 ‘경기도무형문화재의 위상과 발전적 지원 정책 모색’ 학술 심포지엄이 그 현장.
(사)경기무형문화재총연합회가 주최하고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가 주관, 본보가 후원한 이날 심포지엄은 이선호 본보 문화부장의 ‘경기도무형문화재 지원정책과 한계’를 주제로 한 기조발제로 문을 열었다.
김승국 수원문화재단 대표가 좌장을 맡아 기조발제자로 마이크를 넘겨받은 이선호 문화부장은 “소멸해가는 전통문화의 힘을 키우고자 정부는 지난 1962년 제정이래 개정을 거쳐 문화재보호법을 마련했다. 이후 경기도무형문화재도 법망 아래 보호·보존되는 시스템아래 경기의 얼과 혼을 지켜왔다”며 경기도무형문화재 전반을 갈음했다.
곧이어 이 부장은 “정부 및 경기도가 보존·관리에만 초점이 맞춰진 채 ‘전승’이라는 핵심은 쏙 빠진 상태서 △자립적 생계 미지원 △무형문화재 공연행사 비용 지급 가이드라인 부재 △무형문화재 이수자에 대한 지원사업 미흡 등 보존·관리적 관점에서 기·예만 관리하지 경제적 여건은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는 전체적인 무형문화재 제도의 허점이다”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한 개선으로 이 부장은 △경제적 안정을 위한 맞춤 일자리 제공 △전수공간 및 시설 개선안 마련 △고령 전승자에 대한 의료복지 확대 △전승 지원금 제도 점검 등을 통한 전승자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는 현실적 솔루션을 제안했다.
이에대해 패널들은 한결같이 “전승자들이 단순히 기·예만 전승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문화를 지킨다는 활동·운동가로서 단합된 힘으로 무형문화재의 현실적인 전승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축제적인 공동체 문화 및 사회·학교교육 시스템서 무형문화재의 독보적인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도록 총체적·생산적·생태성의 선상에서 무형유산의 의미를 찾고, 무형문화재 보호지구(가명) 등 살아 숨쉬는 유산으로서 삶과 역사와 더불어 문화유산이 함께 어우러지는 정책을 만들어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김헌선 경기대 교수와 양종승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가 각각 ‘경기도무형문화재 제도의 정책과 육성방안’에 대한 갈음과 더불어 개선안을, 김헌선 경기대 교수 및 전지영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김성태 경기학연구센터 수석연구원 등이 각각 경기도무형문화재의 향후 방향성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