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 항공정비단지 조성계획 서둘러라

인천시가 항공정비(MRO)산업단지 조성 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것을 밝힌 지 한 달이 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이 지난 8월 충북 청주에 만들려던 MRO단지 사업을 포기하면서 이를 호재로 삼은 건 적절한 기회 포착이다. 하지만 아직도 MRO단지 유치 경쟁상대로 경남 사천이 엄존하기 때문에 발 빠른 계획수립과 추진이 절실한 상태다.

인천시는 지난달 15일 시의회의 해양항공국 행정감사에서 연내에 외자유치 등으로 인천공항 MRO단지 조성사업을 구체화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MRO단지 조성에 인천을 배제했던 국토부도 인천시 등이 민자로 MRO단지를 조성하는 건 민간사업자가 판단할 몫이라고 종전의 부정적 입장을 바꿨다. 그러나 아직 시의 구체적 계획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당초 국토부는 지난 2010년부터 ‘지역균형발전’이란 미명아래 인천을 배제한 채 청주공항과 사천공항에 국가 MRO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해왔다. 인천이 어느 지역보다 경쟁력이 월등한데도 국토부의 MRO산업 육성 계획에서 배제된 건 시장경제원리를 무시한 처사다.

그런 점에서 아시아나항공이 청주 MRO단지 사업을 1년 6개월 간 검토한 끝에 사업성이 없다며 포기한 건 옳은 판단이다. 이런 와중에 사천시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컨소시엄이 국토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함에 따라 사천이 유일한 유치 경쟁자로 남게 됐다. 이번 사업은 국토부의 MRO 평가단이 사천에서 제출된 사업계획서를 평가, 합격점에 이르면 기획재정부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한다. 인천시가 사업계획서를 빨리 준비해야 할 이유다.

인천공항은 지난 8월 기준, 3분에 1대꼴로 항공기가 이착륙할 정도로 국내 항공시장이 커지면서 MRO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엔 마땅한 MRO단지가 없어 싱가포르 등 외국으로 원정 정비·수리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 정비를 제때 받지 못해 비행 일정이 늦어지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일도 잦다. 뿐만 아니라 외국으로 유출되는 돈도 상당하다.

국내 MRO 시장은 연간 2조5천억원 규모다. 이 중 외국으로 유출되는 돈은 7천560억원에 이른다. 2025년엔 시장 규모가 연 4조2천억원으로 성장할 걸로 예상돼 외국으로 유출될 돈이 1조원이 넘을 걸로 보인다. 국내 MRO단지 조성이 시급하다. 인천이 사천보다 MRO단지 조성에 있어 비교우위에 있다는 건 객관적 사실이다. 전문가들도 사천엔 군수용 MRO 등 지역특성에 맞는 MRO단지를 조성하고, 인천엔 전 세계 90개 항공사가 취항하는 만큼 급증하는 MRO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단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토부는 이 점을 유념, 시장경제원리에 입각해 인천을 MRO 산업단지 조성 대상지로 선정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