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다시 시동을 건 검단새빛도시 건설 사업이 험난하다. 인천시는 검단스마트시티 무산에 따른 후속 대책으로 당초 사업인 검단새빛도시 개발로 사업을 전환했지만 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 대책에 직격탄을 맞는 등 각종 암초와 악재가 겹쳐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지 우려가 크다. 2006년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인천도시공사가 각각 50% 지분으로 추진된 검단새빛도시 조성사업은 이듬해 국제금융위기로 장기 답보 상태에 빠지자 고육책으로 중동 자금을 유치, 스마트시티를 추진했지만 이마저 무산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인천시는 스마트시티 무산에 따른 검단지역민들의 악화된 여론을 의식, 도로·철도망 구축을 골자로 한 검단새빛도시 건설 활성화 방안을 지난달 28일 서둘러 제시하기는 했다. 5천500억원을 들여 인천지하철 1호선을 계양역에서 검단까지 7.2㎞를 연장, 2024년까지 개통한다는 거다. 또 6천억원을 들여 검단과 한강도시·일산대교를 연결하는 국지도 98호선과 원당~태리 간 광역도로 등 7개 노선 도로도 건설한다는 내용도 있다. 하지만 검단새빛도시 개발의 사업성을 높일 방안은 이것이 전부다.
인천시는 또 택지개발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 당초 계획대로 1천118만㎡의 택지조성을 2023년까지 끝낸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러나 정부는 지난 8월 밝힌 ‘8·25 가계부채 관리 방안’에서 주택시장의 안정적 관리와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해 택지 공급물량의 축소를 밝힌 바 있어 검단새빛도시 개발 사업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됐다.
그런데다 지난 9월엔 국회 국토교통위 소속 이우현 의원(새)이 대규모 신도시 건설사업 추진 근거인 ‘택지개발 촉진법’의 폐지법안을 발의해 인천시를 긴장시키고 있다. 이 의원은 2014년 기준 주택보급률이 103.5%에 달해 주택부족이 일정부분 해소 된데다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맞물려 대규모 신도시 조성 필요성이 줄어 줄었다고 법안 발의 이유를 밝혔다.
게다가 검단지역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서구 가정동의 루원시티 택지 조성공사가 올해 말 착공될 예정이어서 택지공급 과잉이 검단새빛도시 건설의 사업성을 저하시킬 거라는 우려도 있다. 악재는 또 있다. 스마트시티 추진으로 1년 8개월을 허비한 인천도시공사가 입은 금융비용이 1천억원에 달한다. 또 하루에 3억원에 달하는 금융비용은 택지조성 원가에 반영돼 사업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선 사업 전망이 어두울 수밖에 없다. 검단새빛도시 조성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선 이런 악재들을 극복할만한 남다른 상권 유도시설(앵커시설)유치 등 특성화 전략이 필요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