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구 300만 인천시, 이젠 행복도시 건설이다

인천이 변혁의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인천시가 지난 19일 인구 300만명 돌파를 발전의 도약대로 삼아 글로벌 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다. 인천시의 인구 300만명 돌파는 서울·부산에 이어 세 번째다. 인천은 다른 주요 도시가 인구 감소 현상을 보인 것과 대조적으로 인구가 꾸준히 늘어났다. 서울이 지난 5월 28년 만에 1천만명 밑으로 감소했고, 부산은 지난 2010년 360만명에서 올해 355만명으로, 대구도 같은 기간 253만명에서 251만명으로 줄었다.

반면 인천은 1979년 100만명, 1992년 200만명에 이어 올해 300만명의 큰 도시로 도약했다. 지금의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 추세를 감안하면 인위적인 지자체 통합이 없는 한 인천은 국내의 마지막 300만 도시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 세계 주요 도시 중 인구 300만명이 넘는 도시는 68곳에 불과하다. 유럽 쪽만 봐도 영국 런던, 독일 베를린, 스페인 마드리드 등 세계적 유명 도시들만이 인구 300만을 넘고 있다.

인천은 인구 증가와 함께 행정구역 면적도 바다 매립지 편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오는 11월엔 인천공항 공유수면 매립지 5.4㎢가 추가 편입돼 행정구역이 1천62㎢를 기록, 면적기준으론 전국 최대 도시가 된다. 인천시는 이 같은 여건아래 인천국제공항과 항만 등 이점을 최대한 살리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면 모범적인 다핵(多核)도시로 발전할 걸로 기대된다. 이 같은 기대가 이뤄지려면 시 당국의 주도면밀한 계획과 실천노력이 필요하다.

인천시의 급성장은 이미 1960~80년대 부평·주안·남동 등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 및 2003년 인천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으로 인구 증가 등 양적 측면에서 쉽게 전망할 수 있었다. 인구만 보더라도 2040년께는 부산을 추월, 제2의 도시로 도약할 걸로 전망된다.

그러나 도시발전은 이 같은 양적 팽창 못지않게 질적 향상을 통해 질과 양이 균형을 이룬 가운데 도모돼야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선 행정·경제·교육·문화·교통·복지와 대기질·상하수도·쓰레기 문제 등 모든 분야를 한 단계 높이는 획기적 전략이 필요하다.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집중적 정책 배려가 있어야 한다. 행복한 도시 건설이 무엇보다 급한 과제다. 그렇지 않으면 서울 등의 전세난을 피해 인천으로 유입된 인구가 여차하면 생활여건이 좋은 다른 지역으로 이탈할 수도 있다. 이들이 정주(定住)의식을 갖고 뿌리내리며 살 수 있게 살기 좋은 생활여건 조성이 필요한 거다. 앞으로 인천시가 300만 대도시로 지속 성장하려면 이 같은 과제들은 당국이 시급히 해결해야할 현안인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