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교육계가 어수선하다. 인천시내 학교 재배치 이전 공사 시공권을 둘러싼 금품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의 칼날이 이청연 교육감을 겨냥하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 인천지검 특수부(김형근 부장검사)는 지난 18일 인천 남동구 구월동의 교육감 집무실 및 비서실과 간석동 관사 등을 압수수색해 교육감의 휴대전화·컴퓨터 하드디스크와 각종 결재서류 등을 확보, 분석 중이다. 검찰은 또 교육감의 비서실장(5급) 자택 등 2곳도 함께 압수 수색했다.
검찰은 이에 앞서 건설업체로부터 억대의 뒷돈을 받은 혐의로 시교육청 전 행정국장 A씨(59·3급)와 교육감 측근 B씨(62)·C씨(58) 등 3명을 구속 기소했다. A씨 등은 지난해 6·7월 학교법인 문성학원 소속 고교 두 곳의 이전 신축공사 시공권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건설업체 D이사(57)로부터 3억 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전 행정국장 A씨는 금품이 오갈 당시 학교설립기획과 관련 업무를 총괄했다. B씨는 이 교육감과 고교동창으로 2014년 교육감 선거 때 캠프에서 사무국장으로 일했고, C씨도 선거 캠프에서 활동한 교육감 최측근으로 알려졌다. 학교법인 문성학원은 운영 중인 여고를 인근의 특성화고 부지로, 특성화고는 신도심으로 옮기는 학교 재배치 방안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학교 이전 사업을 제대로 추진하지 못하다 올 3월 주택조합설립인가를 받으면서 시교육청으로부터 학교 이전 승인을 받았다.
불구속 입건된 건설사 D이사는 문성학원 고교 이전 공사를 맡는 대가로 이 교육감 선거 빚 3억 원을 대신 갚아준 의혹을 받고 있다. 전교조 인천지부 초대 지부장을 지낸 이 교육감은 2010년 선거(낙선)와 2014년 선거 등 두 차례 선거에서 많은 빚을 진 걸로 알려졌다.
검찰 수사의 초점은 3억 원이 오간 사실을 이 교육감이 사전·사후 보고를 받았는지 여부다. 검찰은 건설사 D이사를 통해 전 행정국장과 선거 사무국장 B씨 등에게 건네진 돈이 이 교육감 자신의 선거 빚 갚는 데 사용된 걸 알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이 교육감은 “이번 사건과 전혀 관련이 없다”며 금품비리 연루 의혹을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검찰의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아울러 인천시내 다른 학교의 이전 사업과 관련한 유사 비리는 없는지도 수사를 확대해야 한다. 그렇잖아도 직전 나근형 교육감이 뇌물수수(인사비리 등)로 처벌받아 적지 않은 상처를 받은 교직자들이 이 교육감마저 수사를 받게 됐다는 소식에 또 큰 충격에 빠져있다. 신속한 수사로 모든 의혹이 낱낱이 밝혀져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