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구석기유적, 연천 주먹도끼 제작법 유사”

전곡선사박물관, 네팔 남부 지표조사
유물 70여점 네팔국립박물관에 기증

전곡선사박물관(관장 이한용)은 지난달 12~22일 해외학술교류 프로그램 일환으로 네팔 남부 당(Dang) 지역에서 구석기유적 지표조사를 실시했다. 

전곡선사박물관 이한용 관장, 최진호·김소영 학예사, 배기동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겸 국제박물관협회ICOM 아시아태평양 위원장으로 이뤄진 조사팀은 네팔 국립포카라박물관 산딥 카날(Sandeep Khanal)과 함께 지표조사에 나섰다.

 

이번 지표조사는 구석기유적인 아슐리안 주먹도끼가 확인된 지역에 대한 비교 학술 연구차 이뤄졌다. 우리나라에서는 1978년 전곡리유적에서 아슐리안 주먹도끼가 발견됐다. 유럽 이외 지역에서 발견된 최초의 사례로 서양 중심의 편협한 문화관을 깨뜨린 중요 사건이었다.

 

조사팀은 네팔 카트만두에서 남서쪽으로 약 400km 떨어진 당(Dang) 지역의 덕후리(Deokhuri), 당, 투이(Tui) 계곡 등에서 지표조사를 진행했다. 강에 인접한 지형을 통해 구석기시대의 지층구조와 문화층을 파악했다.

 

그 결과 우기 집중 호우로 드러난 중기 구석기시대와 후기 구석기시대 문화층에서 찍개, 가로날도끼, 몸돌, 긁개 등 석기 70여 점을 수습했다.

 

해당 콘텐츠는 현지에서 기록 및 실측 후 산딥 카날 국립포카라박물관장을 통해 국립박물관에 기증했다.

 

이한용 관장은 “대체로 유물들이 강가의 규암 자갈돌을 이용해 만들어진 것으로 전곡리 구석기유적이 위치한 임진한탄강 유역의 구석기문화에서 확인되는 제작 수법과 유사한 점이 많았다”면서 “앞으로 두 지역의 구석기문화 비교 연구에 중요 자료로 쓰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한편 전곡선사박물관은 올 연말 네팔 남부지역 민속자료와 함께 발굴 유물을 소개할 예정이다.

류설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