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건설업체들이 허덕이고 있다. 건설시장의 장기 침체로 건설물량이 크게 줄어든 데다 설상가상으로 경쟁력이 떨어져 원·도급공사 수주율도 크게 저조해 고사위기에 처해 있다. 인천시 등 역내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공사조차 대형공사 수주는 서울 등 외지 업체들이 독식하다시피 하고 있다. 대형공사는 아예 능력이 달려 언감생심이다.
어쩌다 외지 대형 건설사가 시공하는 공사의 공동도급 수주에 나서더라도 타 지역 경쟁사의 기술력과 공사 실적 등에 밀려 수주에 실패하기 일쑤다. 또 큰 공사를 수주한 외지 건설사와 하도급 계약을 하려해도 터무니없이 낮은 공사비를 제시하기 때문에 하도급 공사 따기도 쉽지 않다. 전문건설업체들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지역 업체의 이 같은 수주 부진 현상은 국가 공기업 발주 공사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국가 공기업이 지난해 인천지역에서 발주한 공사의 지역 업체 원도급과 하도급률은 각각 19.7%와 9.8%로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지난해 시 산하 공기업이 발주한 공사의 지역 업체 원도급률 97.4%와 하도급률 83.7%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수치다. 특히 눈여겨 봐야할 건 국가 공기업이 발주한 공사의 원도급률에 비해 하도급률이 10%가량 낮다는 점이다. 인천지역 원도급 건설사조차 타 지역 건설업체 등에 하도급을 줬다는 뜻이다.
대형공사의 외지 업체 독식이 지역 경제에 도움 되는 건 하나도 없다. 큰 공사를 수주한 업체가 그 지역에서 생산한 자재를 사용하는 건 물론 건설기술자와 현장 근로자 고용에 이르기 까지 부정적 영향은 크다. 국가 공기업 발주 공사의 경우 인천 지역 자재 사용률은 36.3%에 불과했고, 지역인력 참여율도 43.6%에 머물렀다. 역내에서 대형 공사가 이뤄지고 있는데도 막대한 건설 관련 자금과 과실(果實)이 역외로 유출되는 안타까운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거다. 이처럼 인천 업체들이 공사 수주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자본금 잠식과 기술력 부족 등으로 자연 도태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올 들어 5월 말 현재 종합건설사 11개와 전문건설업체 65개가 건설업 등록기준 미달로 등록이 말소됐다.
국가 공기업 등이 발주한 공사 중 지역 내 업체와 공동도급을 의무화한 한도액(245억 원)을 초과한 대형 공사를 외지 업체에 뺏기지 않고 수주 경쟁을 벌이려면 기술축적 등 능력배양이 시급하다. 건설사들은 이제 인천이라는 우물 안 개구리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 외지 업체의 대형공사 독식을 끌탕만 하고 있을 게 아니라 업체 스스로 내실을 기하고 건축 기술을 혁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치열한 자구적 생존전략이 필요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