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 투수 윤성환(35)은 지난달 7일 수원 kt wiz전에서 개인 통산 100승을 달성하고도 웃지 못했다. 지난해 10월 해외 원정도박혐의를 받으면서 여론이 등을 돌린 까닭이었다. 윤성환은 등판 사흘 전 취재진 앞에 나서서 “물의를 빚어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하지만 여론은 싸늘했다. 100승 달성 후에도 축하보단 야유가 많았다. 그는 이날 등판 후 한 달이 넘어선 지금까지 ‘도박꾼’이라는 비아냥을 듣고 있다.
kt 외야수 오정복(30)은 올해 시범경기가 한창이던 3월 음주운전을 한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벌금형을 구형받고, 한국야구위원회(KBO)로부터는 15경기 출장 정지 제재를 부과받았다. 오정복은 징계가 풀린 이튿날(4월21일) 1군 선수단에 복귀했다. 이날은 두산 베어스와 홈 경기가 있는 날이었다. 오정복은 경기 전 1루 내야 응원단상에 올라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팬들의 마음이 사과 한 번에 풀릴 리 없었다. 이후 오정복은 ‘술 좋아하는 친구’, ‘음주범’ 등의 불명예 별칭이 붙었다.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프로야구 선수들이 얼렁뚱땅 복귀해 선수생활을 이어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진정으로 반성했는지, 얼마만큼 자숙했는지 팬들은 사과 한 번만으로 알 수 없다. 사과의 진실성마저 의심하고 드는 것이 다반사다. 이들이 ‘범죄자’라는 낙인 효과 속에서 선수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이유다.
kt 포수 장성우(26)의 복귀가 대략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치어리더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돼 첫 선고공판에서 벌금 700만원을 선고받고, KBO로부터 50경기 출전 정지 처분을 받은 그는 현재 전북 익산 2군 캠프에서 자숙하며 복귀를 준비 중이다. 장성우는 오는 26일 수원지법에서 열릴 2차 선고공판에 출두해야 한다. 결심공판에서 징역 8월을 부여했던 검찰이 선고공판에서 벌금형에 머무르자 항소를 했다. 2차 공판 결과에 따라 장성우의 복귀 여부는 판가름나게 된다. 만약 징역형이 선고된다면 올 시즌 그는 그라운드에 설 수 없게 된다.
비록 거취가 불투명한 상태이지만, 자숙이 능사는 아니란 목소리가 높다. 더욱이 장성우에 대한 팬들의 분노와 배신감은 윤성환이나 오정복보다 몇 배 이상 크다. 복귀와 동시에 “죄송하다. 야구선수인 만큼 야구로서 사죄하겠다”는 인사치레로 넘어갈 상황이 아니란 이야기다.
축구의 이천수(35) 사례는 장성우에게 교훈이 될 수 있다. 이천수는 과거 전남 드래곤즈에서 잇달아 물의를 일으켜 임의탈퇴 처분을 받았다. 구단이 임의탈퇴를 철회하지 않으면 K리그 어느 팀에서든 뛸 수 없었다. 이천수는 이후 전남의 홈구장인 광양축구장에서 경기가 열릴 때마다 입구에 서서 팬들을 향해 사과했다. 처음에는 보여주기식 퍼포먼스라는 부정적인 시선이 많았지만 거듭된 사과에 여론은 조금씩 돌아서기 시작했다.
장성우도 그라운드로 돌아오기에 앞서 야구팬, 특히 kt팬들에게 속죄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장성우를 바라보는 여론은 당시 이천수보다도 더 좋지 않다. KBO로부터 받은 봉사활동 240시간 명령을 이행한 것으로 부족하다는 분위기다. 물론 실력이 뒷받침돼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복귀 후 경기력이 형편없다면 장성우에 대한 여론은 더욱 악화될 것이다. 선수협 비리문제로 야구인생 벼랑 끝에 몰렸던 투수 손민한(41·전 NC)이 지난해 명예롭게 은퇴할 수 있었던 것도 제2의 전성기라 불릴 만큼 빼어난 기량을 선보였기에 가능했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