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업계가 뒤숭숭하다. 한진해운·현대상선 등 양대 선사(船社)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인천 신항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을 거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 3월 자율협약(채권단의 기업 공동 관리)에 들어간 현대상선에 이어 한진해운도 지난달 25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자율협약을 신청했다. 두 선사가 채권단과 공동 관리에 들어간 거다.
지난해 6월 개장한 인천 신항 선광컨테이너터미널(SNCT)을 이용하는 현대상선은 인천항 44개 선사 중 유일하게 미주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또 한진해운은 지난달 18일 개장한 한진컨테이너터미널(HJIT)에 투입되는 3개 항로 중 2개 항로를 운영 중이어서 이들 선사의 운명이 인천항 활성화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해운업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채권단은 우선 한진해운·현대상선 두 선사에 대해 비싼 용선료(선박을 빌리는 비용)를 지불하는 현 상황의 개선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두 선사는 해운업 호황기 때 계약한 비싼 가격에 배를 빌려 운용하고 있는데 현재 시세보다 5배가량 비싼 수준인 걸로 알려졌다. 부실 경영의 주인(主因)이다. 채권단은 경영 정상화의 핵심 요건인 용선료 인하 협상 시한을 오는 5월 20일로 정하고 외국 선주와의 협상이 결렬되면 법정관리 절차를 밟는다는 방침이다.
만약 외국 선주와의 용선료 인하 협상 결렬로 선사들이 경영권을 상실하게 되면 인천 신항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더 큰 문제는 두 해운사가 합병되거나 채권단과의 자율협약 무산으로 두 선사가 법정관리에 들어 갈 경우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은 노선이 상당히 겹치기 때문에 합병 시너지 효과보다는 노선 축소나 물동량 감소 가능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세계 해운동맹 참여 가능성 여부도 문제다. 채권단이 두 선사의 글로벌 해운동맹 참여를 지원 조건으로 내걸었기 때문이다. 세계 해운산업이 4개 동맹체제에서 2개로 재편되면서 그동안 경영 위기를 겪고 있던 국내 대형 해운사들이 소외되어 왔다. 따라서 두 선사는 양대 해운동맹에서 제외된 독일·일본 선사들과 함께 ‘제3동맹’ 구성을 모색하고 있다. 해운동맹에 참여하지 못하면 해운사는 영업 기반이 무너져 채권단이 자금을 지원할 명분이 사라진다는 점에서 제3해운동맹 성공 여부가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회생의 주요 관건이 되고 있다. 하지만 두 선사가 구조조정으로 제3해운동맹 참여조차 불투명한 상태다. 산 넘어 산이다. 정부와 채권단은 이를 방관만 해선 안 된다. 구조조정으로 인한 인천항 타격 최소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