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당하고도 안전의식은 그대로다. 7명의 사상자를 낸 강화 캠핑장 화재사고가 난지 1년을 맞고 있지만 안전의식을 가볍게 여기는 우리 사회의 고질병은 아직도 치유되지 않고 있다. 그만하면 변할 만도 한데 달라진 건 하나도 없다. 대형 참사를 수없이 겪고도 아직도 안전 불감증을 고치지 못하고 있으니 우리 사회의 무딘 감각과 무책임이 한심스럽다.
더욱이 참사 이후 지난해 8월 관광진흥법을 개정, 캠핑장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지난달까지 무등록업체에 대한 등록 계도기간을 설정했지만 무위로 끝나고 말았다. 법은 있으나마나다. 관련법이 정한 야영장 안전 및 위생기준을 제대로 준수,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한 인천지역 캠핑장은 모두 19개다.
하지만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준미달 캠핑장이나 미등록 불법 캠핑장들이 봄철을 맞으면서 본격적인 영업 채비에 나서 작년과 같은 사고가 재발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지난 주말 이용객들이 몰린 강화의 A캠핑장은 곳곳에 소화기를 비치해 놨지만 형식적인 껍데기에 불과했다. 소화기 상당수는 안전핀이 뽑힌 채 방치돼 있었고, 일부는 이미 사용했던 소화기이거나 내부 분말이 새서 무용지물이었다.
인근 B캠핑장은 아예 소화기를 제대로 비치하지도 않았다. 강화된 관광진흥법의 야영장 안전·위생기준엔 텐트 2개 또는 100㎡당 1개 이상의 소화기를 비치해야 한다. 하지만 텐트 14개를 설치할 수 있는 부지에 소화기는 단 하나뿐이다.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C국제캠핑장도 문제투성이다. 텐트 옆에 비치된 소화기 2개 중 1개는 비올 때를 대비한 비닐이 씌어 있지 않았고, 일부 부품은 녹이 슬어 있었다.
캠핑장 내에선 화재 예방을 위해 그릴 위에서만 불을 사용할 수 있는데도 텐트 옆 곳곳엔 모닥불로 인해 새까맣게 탄 잔디 흉터가 보기 흉했다. 특히 캠핑장 내 매점에선 안전상 사용 판매가 금지된 다양한 폭죽을 공공연하게 팔고 있었다. 또 별도의 주차장이 없는 캠핑장은 진입로가 이용객들의 주차장으로 변해 비상시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상당수 야영장들이 행정당국과 소방당국의 단속·점검에서 완전히 벗어난 안전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거다. 모든 게 무방비 그대로다. 관계당국은 뭘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사전 대비책을 소홀히 한 채 참사를 당하고 나서 뒤늦게 대책을 세운다고 법석을 떨어봤자 소용없다. 지난해 참사 때도 그랬다. 관계당국은 미등록 야영시설을 철저히 파악, 폐쇄 조치하고 등록 시설에 대해서도 불시에 정밀 안전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