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유시티 공채비리, 돈 거래 여부 밝혀내야

기가 막힐 노릇이다. 인천시 출자기관인 인천유시티(U-City·유비쿼터스 도시)회사 대표의 간부직원 채용비리 혐의 내용이 철면피하다. 인천지방경찰청은 최근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G타워 내 인천유시티 사무실을 압수수색,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인사 관련 자료 등을 확보해 분석 중이다. 경찰 수사는 인천유시티가 간부직원 공채 지원자들의 개인정보를 외부에 유출했다는 첩보를 입수하면서 비롯됐다.

인천유시티는 인천시가 출자한 미래형 도시 구축 관리 시스템 설계회사다. 지난 2012년 5월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인천시가 경제자유구역 도시 정보화 사업을 위해 KT·시스코가 합작한 센디오스(주식 지분 51.4%)와 공동출자해 설립한 주식회사다. 이후 지난해 1월 센디오스가 주식 지분을 매각해 인천시가 1대 주주가 됐다.

경찰에 따르면 인천유시티 대표 A씨는 지난해 정규직 간부직원 공채 과정에서 입사 지원자들의 신상정보가 담긴 이력서 등을 이메일을 통해 특정 지원자 3명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A대표는 또 특정 지원자 3명에게 이메일로 이 회사의 각종 사업 계획과 경영 실적 등이 담긴 주요 내부 문서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A대표로부터 각종 자료를 건네받은 3명의 지원자가 이 자료를 근거로 다른 경쟁 지원자보다 우수하고 구체적인 업무 추진계획서를 작성, 제출하는 등 입사 과정에서 큰 특혜를 본 걸로 판단하고 있다. 그 결과 이들 3명은 다른 경쟁자들을 제치고 A대표에 의해 모두 실·부장급 간부로 채용됐다. 현재 2명은 근무 중이며, 1명은 퇴직한 걸로 알려졌다.

결국 A대표는 자신이 채용하고 싶은 지원자들에게 주요 수험 자료를 주고 자신이 직접 면접, 채용한 거다. A대표가 건넨 인천유시티의 각종 사업 계획서 등은 스마트시티(미래학자들이 예측한 21세기의 새로운 첨단도시 유형)구축을 위한 전문 자료다. 특정 수험생들에게 고급 모범 답안지를 준거나 다름없다. 입사 당락에 있어 중요하고도 절대적인 자료다.

A대표의 채용비리로 억울하게 탈락한 지원자들이 영문도 모른 채 들러리를 선 꼴이 됐고, 공채의 공정성을 크게 훼손한 결과를 초래했다. 수사 초점은 지도·감독권자인 인천시가 이를 모르고 있었는지 여부와 특혜 채용과 관련된 금품 거래 여부다. 수사결과 밝혀지겠지만 비리 내용이 주도면밀하고 대담하다. 또 상식적으로 인사비리가 대가없이 이뤄진다는 건 생각하기 어렵다. 경찰의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이번 기회에 다른 인사비리는 없었는지도 철저히 파헤쳐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