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영종 자기부상열차 결함보완 완벽해야 한다

개통 연기를 반복해온 인천공항(영종)자기부상열차의 안전성에 깊은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영종 자기부상철도는 국가연구개발 실용화 사업으로 지난 2010년 정부와 인천시·인천국제공항공사가 4천149억 원을 들여 추진해왔다. 우선 1단계 구간인 인천공항역과 용유역을 잇는 6.1㎞(6개역)시설 공사가 이미 2012년 8월 끝났으며, 앞으로 2020년까지 2단계 구간 9.7㎞(차량기지~국제업무지역)와 3단계 구간 37.4㎞(국제업무지역~인천공항) 등 공항과 국제업무지역을 순환하는 노선(54.2㎞)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자기부상열차는 전기로 발생된 자기력(磁氣力)으로 레일에서 낮은 높이로 부상, 바퀴를 사용하지 않고 움직여 소음이 거의 없고 승차감이 좋을 뿐 아니라 마모되는 부품이 없어 유지보수비가 적게 드는 게 장점이다. 열차가 본격적으로 운행되면 일본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국내 기술로 개발한 자기부상열차를 상용화하는 나라가 된다. 기술 수출도 기대된다.

하지만 초장부터 일이 꼬였다. 지난 2012년 11월부터 시작된 1단계 구간에 대한 시운전 과정에서 각종 오류가 발생, 공사가 끝난 지 3년이 다되도록 수차례 개통 연기를 되풀이 하며 시험운행만 하고 있으니 안전에 대한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지난 2013년 관계기관의 합동점검 결과 무려 585건의 결함이 발견돼 그동안 564건을 보완했으나 나머지 21건은 아직도 개선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2년여에 걸친 보강작업 결과가 이 정도다.

미결된 주요 하자는 초속 17.1m의 강풍에 부상열차가 8㎜ 이하로 내려앉는 현상이 나타나고, 비올 때나 안개 낄 때 전력이 차단되며, 정위치 정차 오류와 관제-차량 간 운행정보가 불일치하는 것 등이다. 하나같이 안전과 직결된 결함들이다. 그런데도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단’ 등은 미흡한 점은 인정하지만, 운영과정에서 모두 보완할 수 있는 미미한 사항이라며 ‘선 개통-후 보완’을 주장해왔으니 그들의 안전의식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하자를 완전 보완한 후 개통을 주장해온 인천공항공사와 위탁운영자인 인천교통공사는 내년 3~4월까지 하자 보완을 끝내고 준공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그동안의 여러 상황을 고려할 때 계획대로 될지는 의문이다. 조급증을 버려야 한다. 대중교통 시설은 아무리 최신 기술로 설치되더라도 기계자체의 결함으로 이용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등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그런 시설물은 차라리 없는 편이 낫다. 자기부상열차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많지 않은 첨단기술을 국내서 최초 개발하는 만큼 한 치의 오차 없이 100% 완벽한 안전 상태에서 개통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