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내항, 친수공간답게 개발개방해야 한다

해양수산부의 하는 일이 미덥지 못하다. 인천지역 주요 현안 중 하나인 내항 1·8부두 개방 및 재개발 사업이 당초 계획대로 시행되지 않아 시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내항 1·8부두는 1974년 이래 나름대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몫을 해왔지만, 각종 공해 배출로 민원의 대상이 돼왔다. 특히 1985년 8부두가 고철전용부두로 조성되면서 항만 인근 주민들은 분진·쇳가루·소음 등 공해 고통과 뻔질나게 오가는 화물차량의 폭주에 위험을 느끼며 살아왔다.

참다못한 주민들은 2007년 내항 부두 일부를 친수공간으로 재개발, 시민에게 개방하라고 국회에 청원했다. 그 결과 정부는 2012년 ‘제1차 항만개발 기본계획 수정계획’을 고시, 1·8부두를 재개발 예정구역으로 지정한 바 있다. 2013년 5월엔 당시 윤진숙 해수부 장관이 인천을 방문, 2015년 6월부터 1·8부두를 폐쇄하고 친수공간으로 조성, 개방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3월 1·8부두 28만6천395㎡를 해양문화관광지구 등으로 재개발하는 사업계획을 고시했다. 하지만 개방 약속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게다가 재개발 방식이 시민들의 뜻과 어긋나 또 다른 갈등 요인이 되고 있다. 해수부는 우선 내항 중 8부두 일부 개방을 추진하면서 내항 외곽에 폭 30m의 화물차량 전용 회주도로 개설을 계획하고 있다. 또 보안구역인 부두 내부 공간이 시민에 노출되는 걸 막는다며 높이 2m 가량의 보안 울타리를 설치할 계획이다. 내항 인근엔 항만업계의 요구대로 중고차 수출단지도 조성한다는 거다.

내항살리기시민연합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이 같은 해수부 계획이 친수공간 조성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내항을 개방하더라도 철책 가드레일이 설치된 회주도로와 보안 울타리 때문에 시민들이 바다로 접근할 수 없을 것이라며 조망권 확보 차원에서 회주도로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당연한 주장이다.

내항 개방 취지가 40년 간 온갖 공해에 시달려 온 시민에게 수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인 만큼 시민이 바닷가를 쉽게 접근할 수 있게 계획을 수정하는 게 옳다. 아울러 관광객 유치를 위해 대형 주차장과 문화·집회시설도 마련해야 한다. 그래야 내항과 인접한 차이나타운·월미관광특구·개항장문화지구 등과 연계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렇잖아도 내항이 있는 중구(中區)지역은 원도심 지역의 고질인 공동화 현상으로 총체적 침체 늪에 빠져있다.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서도 내항 재개발은 경제·생활·레저 공간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도심형 친수공간으로 조성돼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