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영종대교 운영사, 영리만 골몰 ‘안전’ 외면하나

영종대교의 교통안전시설 부족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11일 전례 없는 106중 연쇄 추돌 사고가 발생한 영종대교의 운영사가 짙은 안개 등 악천후에 대비한 안전시설 대책을 소홀히 했다는 지적이다. 관련법규 위반여부에 대한 경찰의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영종대교는 1993년 민간으로부터 8천130억원을 유치, 2000년에 완공한 민자(民資) 교량이다.

영종대교 운영사인 신공항하이웨이(주)는 정부와 체결한 최소수입보장(MRG)협정에 따라 매년 수백억원의 정부 지원과 비싼 통행료를 받으면서도 교통안전시설 재투자는 거의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영종대교 4천420m 구간에 설치된 안개 관련 안전시설은 고작 전광판 11개와 기상정보시스템(안개 시정계) 3개뿐이다. 영종대교 전구간이 해무 상습지역인데도 안전시설은 이 정도밖에 안 된다. 운영사의 안전의식이 의심스럽다.

정부가 지난 2006년 서해대교 참사 이후 내부 규정을 만들어 전국 고속도로의 안개 상습구역에 다양한 안전시설을 설치토록 강화했음에도 신공항하이웨이 측은 이를 외면했다. 반면 서해대교엔 현재 기상 상황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대형 전광판은 물론 감속을 유도하는 소형 전광판 39개, 비상 상황 때 사용할 스피커 등 방송장비 92개를 설치했다. 또 교량 진입부 1.3㎞ 구간에 15m 간격으로 갓길 LED 시설 유도등을 설치했고, 운전자들이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100m 거리 표지판 2개와 경광등도 설치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인천대교는 안개가 발생해도 운전자가 차선을 볼 수 있도록 안개등이 50m 간격으로 723개나 설치돼 있다. 특히 이번 영종대교 참사 때처럼 안개 때문에 CCTV로 사고 여부를 확인할 수 없더라도 레이더로 차량 이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지기 12개가 설치돼 있다. 검지기가 제공하는 정보는 16개의 차로 제어 전광 표지판에 표시돼 실시간으로 도로를 통제, 후방 연쇄 추돌을 예방할 수 있다.

이처럼 인천대교와 서해대교의 안전시설이 크게 확충된 데 비해 영종대교의 시설은 빈약하기 짝이 없다. 신공항하이웨이가 2000년 영종대교 개통 후 지금까지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돈은 1조원이 넘는다. 또 통행료는 비싸다는 여론에도 불구 7천600원(소형차 기준)이나 받고, 대주주에겐 13%의 이익 배당금도 주고 있다.

그런데도 운전자 안전을 위한 시설 설치는 인색하니 돈 벌이에만 급급 한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이를 방관해온 관계당국의 책임도 없지 않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교통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시설 확충을 서둘러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