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제도는 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한다. 시민의 손으로 직접 지역 일꾼을 뽑고, 이를 견제하고 감시하는 이중 장치로 지방의원을 선출한다. 중앙집권의 ‘통치’가 아닌 지방자치의 ‘협치’인 것이다.
올해 지방의회는 부활 25주년을 맞는다. 유년기를 지나 모든 행동에 책임이 따르는 성년기에 접어들었다. 지난 1대부터 6대까지 300만 인천시민들이 애정 어린 눈으로 시의회에 관심을 보였다면, 앞으로 시민들은 성인이 된 시의회를 향해 책임감 있는 의정활동을 기대할 것이다.
필자는 1998년 3대 기초의회를 시작으로 4대, 5대 시의회를 거쳐 이번 제7대 의회까지 4번의 지방의원을 역임했다. 지난 10여 년간 인천 시민을 대변하는 지방의원으로 봉사해 보니 무엇보다 ‘소통’과 ‘대화’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소통(疏通)’은 사전적으로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다는 의미이다. 세상에는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있고, 그만큼 다양한 가치관이 존재한다.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려 그 뜻을 이해하고 오해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끝없는 대화를 통한 공감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광역단위의 시의원에게는 시민과의 소통은 물론 시 집행부, 그리고 의원 간의 소통이 중요하다.
먼저 가장 중요한 ‘시민과의 소통’이다. 300만 시민들이 시의원에게 준 권한은 ‘상대적’이다. 활발한 의정활동이라는 전제 조건이 붙어야만 시민들로부터 시의원으로서의 권한을 부여받는다. 소통을 기반으로 아주 작은 지역의 문제는 물론, 주민들의 생활에 밀접한 문제에 이르기까지 세심하게 돌봐야 하는 것은 우리 지방의원들의 몫이다.
인천시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민들의 행정수요는 폭증하고 있으며, 질적으로도 복잡 다양해지고 있다. 이를 시원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항상 시민들과 소통해야 한다. 시민의 불편함을 바로잡고, 시민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조례제정 등 민의를 반영한 의정활동에 노력하면 시민들의 신뢰는 더욱 커질 것이다.
다음으로 ‘시 집행부와의 소통’이다. 시의회는 집행부가 적법하고 합리적인 행정을 수행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기관임을 명심하고, 의회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
시 집행부의 잘못된 행정은 따끔한 질책과 시정을 요구하고, 잘한 부분에 대해선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등 합리적인 견제와 협력의 조화를 이뤄야 한다. 과거 호통만 치던 의회가 아니라 합리적이고 전문적인 정책 분석과 소통으로 시 집행부와 함께 인천 미래의 밑그림을 그려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의원 간의 소통’이다. 인천시의회는 10개 군·구를 대표하는 31명의 시의원과 각 정당의 지지를 받은 4명의 비례대표를 포함하여 모두 35명의 시의원이 활동하고 있다. 정당과 출신 배경이 다르지만 시의원 35명이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의회’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므로 시민을 위해 의정 활동을 하는 데 여야를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고, 보수와 진보로 편을 가르는 것은 더욱 맞지 않다.
지방의회는 국회와 달리 생활정치를 펼치는 곳이다. 시민의 힘들고 어려운 부분을 해결할 방법을 찾고, 살기 좋은 지역으로 만드는 데 노력해야 한다. 생활정치를 하는 지방의회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순 없다. 서로 소통하고, 대화를 나눠 문제를 해결해 가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
다수당 소속 시의원들과, 소수 정당 소속 시의원들이 허심탄회하게 의정을 토론하고, 각자의 전문성을 발휘해 의정활동을 펼친다면 앞으로 7대 인천시의회는 바람직한 의정상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
노경수 인천광역시의회 의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