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공직사회가 뒤숭숭하다. 지난 7월 유정복 시장 체제 출범 이후 처음으로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가 예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유 시장 취임 후 단행됐어야할 인천시 인사는 그동안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때문에 미뤄왔다. 따라서 인천시는 내년 1월1일 명실상부한 민선6기 출범을 위해 이달 중으로 인사 작업을 끝낼 계획이다.
선거결과 시장이 교체된 만큼 그에 따른 인사폭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일선 자치구 부구청장 등 이사관(2급) 4명을 포함 부이사관(3급) 12명·서기관(4급) 80여명 등 간부급 100여명이 인사 대상이며, 하위직 후속인사도 뒤따르는 대규모 인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당연히 공직사회가 어수선 할 수밖에 없다.
하긴 소신껏 일해 온 공무원들이야 바람 탈 일이 없지 않느냐고 할지 모르나 우리 공직사회 현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자치단체장이 바뀌면 그 파장이 어떻게 미칠지 몰라 공직자들이 일손을 놓기 일쑤다. 유 시장은 그래서인지 인사와 관련, 부서 책임자 등은 시장의 시정철학을 함께 공유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하고, 근무평가와 성과분석 등 여러 점을 검토,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합리적 인사권을 행사하겠다고 천명했다.
자치단체장이 행사하는 공직인사의 기본은 인력의 적재적소 배치다. 인사의 내용과 절차가 공명정대하고 투명해야함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러나 지방선거가 끝날 때마다 단행되는 인사엔 항상 잡음이 뒤따랐다. 선거결과 교체된 단체장은 선거 과정에서 자기편에 선 공무원에 대해 능력과 관계없이 정실인사나 발탁인사를 단행하고, 전임 단체장 측근에 대한 보복인사로 심한 후유증을 앓아야 했다.
물론 단체장의 정실(코드)인사가 부정적 측면만 있는 건 아니다. 공무원들의 능력이 같다면 단체장이 자신의 뜻과 같은 인력을 활용할 때 정책을 효과적으로 집행할 수 있다. 하지만 정실인사는 적절한 통제가 전제되지 않을 경우 조직의 기강과 질서를 문란케 하는 등 폐해가 심각하다. 능력위주의 공정인사가 아닌 논공행상이나 편 가르기 식 인사가 이뤄진다면 행정이 제대로 돌아갈 리 없다.
인사의 성패를 가리는 중요 기준의 하나는 조직 구성원 다수가 납득하느냐 여부다. 많은 구성원이 수긍하지 못하는 인사는 조직융화와 직원 간 단합을 해친다. 조직이 원활히 작동할 수도 없고, 행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없다. 유 시장은 곧 단행할 대규모 인사에 앞서 이 점을 각별히 유념해야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