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가 들끓고 있다. 한국가스공사가 추진하는 송도 LNG(액화천연가스)생산기지 증설에 반대하는 지역민과 시민단체 등의 반발이 거세다. 해당 자치구인 연수구와 연수구의회도 이에 동조, 합세하고 있다. 송도 LNG 기지 증설은 한국가스공사가 5천600억원을 들여 2018년까지 연수구 송도동 25만5천353㎡에 20만㎘ 규모의 LNG 저장탱크 3기와 기화송출설비·변전소 등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주민들은 가스 폭발사고 위험을 우려하고 있다.
송도 LNG 기지는 1992년 처음 계획 때 10만㎘ 규모의 LNG 저장탱크 3기만 건설하기로 했다. 그러나 당시 주민들의 반발을 우려, 건설 계획을 축소 발표한 사실이 국감자료에서 밝혀졌다. 따라서 현재는 10만㎘급 저장탱크 10기·14만㎘급 탱크 2기·20만㎘급 탱크 8기 등 20기가 운영되고 있다. 증설사업이 끝나면 LNG 저장탱크는 현재 20기에서 23기로 늘어난다. 전체 저장용량은 현재(288만㎘)보다 21% 늘어나 348만㎘에 이르게 된다.
주민들이 가장 걱정하는 점은 안전문제다. LNG 기지가 송도국제도시와 2㎞ 떨어져 있지 만, 앞으로 송도가 더 개발되면 아예 도시와 인접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주민들은 기지 증설은 고사하고 기존 기지를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주민들은 2005년 가스 누출사고 때 감사원이 LNG 기지가 주민 안전을 위협하는 시설로 지목했다고 상기했다.
당시 주민 불안이 커지자 안전협의체를 구성했지만 어찌된 일인지 누출 원인과 추가 누출 여부에 대해선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고, 가스공사는 재발 방지대책도 내놓지 않고 일이 흐지부지됐다고 분개했다. LNG 기지 증설 계획은 가스공사가 지난해 9월 인천시 도시계획위원회에 해당 부지의 토지형질변경안을 제출하면서 알려졌다.
토지형질변경안을 일단 보류했던 시 도시계획위가 지난 8월 이를 조건부로 가결 처리,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졌다. 도시계획위의 조건은 기존 안전성 평가용역 결과보다 강화된 안전기준 적용 등이다. 가스공사 측은 증설될 기지는 연구용역결과 안전하다고 했다.
하지만 가스공사에서 전문 변호사로 근무한 류권홍 교수(원광대)는 안전성 평가용역에 참가한 교수들은 가스공사의 손아귀에 있어 용역결과를 믿을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저장탱크 폭발로부터의 안전거리는 최소한 7㎞ 이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스공사는 기지 증설이 불가피하다면 누구나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의 안전성 검증 결과와 함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도시와 기지간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 등 대안을 제시, 주민들의 동의를 다시 구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